슬롯 스 캐터 혼돈주가 ()

한문학
작품
조선 중기에 정희량(鄭希良)이 지은 한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정희량(鄭希良)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글자수가 일정하지 않은 잡체시이며, 『속동문선』에 전한다.

내용 및 평가

정희량은 서문에서 귀양살이 이래로 술을 집에서 빚어 마시는데 거르지도 않고 짜지도 않고 그대로 마셔 이름을 ‘슬롯 스 캐터주’라 한다고 하였다. 그 즐거움을 즐김은 마음에서 즐겨, 늙음이 오려는 것도 알지 못한다고 하여 이 술을 즐기는 뜻을 밝혔다.

술을 마시고 취해서 그런 경지에 이르러 세상의 시비를 넘어선다고 하는 시이다. 성현이 아닌 슬롯 스 캐터주를 스승으로 삼아 천성을 보존한다면서 유가적인 규범에 반발하고 도가적인 초탈을 노래하였다. 슬롯 스 캐터주를 마시니 신령과 통하고 우주가 개벽하는 몽롱한 상태에 이른다고 하였다.

그래서 슬롯 스 캐터한 세상을 어루만지고 슬롯 스 캐터한 바람을 듣는 벼슬은 하늘이 주었지 사람이 주지는 않았다고 하였다. 연산군 시절에 사화가 거듭되는 정치에 환멸을 느끼고 도피하며 반발하는 심정을 이렇게 나타내면서 기존의 가치를 일체 부정하였다.

허균은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슬롯 스 캐터주가(渾沌酒歌)」는 매우 훌륭하여 소동파(蘇東坡)의 시와 흡사하다."라고 평하였다.

참고문헌

『슬롯 스 캐터문학통사』 2(조동일, 지식산업사,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스 캐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슬롯 스 캐터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