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한문필사본. 수록된 글은 「의장량초사호서(擬張良招四皓書)」·「자엽부(紫葉賦)」·「백수시(白愁詩)」·「상사동전객기(相思洞餞客記)」·「어제제문(御製祭文)」으로 모두 5편5 드래곤 슬롯.
「의장량초사호서」는 장량이 상산사호(商山四皓)에게 보내는 글을 모의한 것5 드래곤 슬롯. 「백수시」는 백가지 근심을 나열한 것으로 매구가 ‘수(愁)’로 끝나고 있는데, 2구가 각각 대구를 이루고 있다.
「상사동전객기」는 한문소설인데, 김생(金生)과 회산군(檜山君)의 시녀 영영(英英)과의 사랑을 그린 것으로, 곧 「상사동기(相思洞記)」·「영영전(英英傳)」의 이본5 드래곤 슬롯.
「어제제문」은 두편으로 되어 있는데, 어느 왕이 지었으며 누구를 대상으로 한 제문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그 5 드래곤 슬롯으로 보아 덕행과 품성이 뛰어난 명문가 출신의 부인을 추모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고담주옥’이라는 제목이지만, 소설은 한편뿐이고 시·부·서·제문 등과 소설이 섞여서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소설이 단행본으로만이 아니라 여러가지의 다른 글들과도 혼합되어 독자층에게 수용되기도 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는 자료5 드래곤 슬롯.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