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판본. 1906년에 12대손 완집(完集)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정진헌(鄭鎭憲)의 후서, 완집의 소지(小識)가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던파 온 슬롯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두에 연보, 권상에 시 10수, 표(表) 1편, 서(書) 3편, 권하에 시 3수, 유사·유사후서(遺事後敍)·묘갈명·묘갈후지(墓碣後識)·묘갈고구문(墓碣告具文)·개수갈고유문(改竪碣告由文)·개갈시고유문(改碣時告由文)·묘지명·서가승후(書家乘後)·가승후서(家乘後敍)·행장 각 1편, 통문 3편, 축문 4편, 기(記) 1편, 상량문 2편 등이 실려 있다.
시는 자연을 노래하거나 역사를 읊은 것이 많다. 명나라의 도읍을 주유할 때 명나라의 세종(世宗)이 금로(金爐)를 하사한 데 대한 감은시(感恩詩)와 이제현(李齊賢)·정몽주(鄭夢周) 등 선현들의 인품과 도학에 관해 찬양한 작품이 주목된다.
「의우백익청임현물이(擬虞伯益請任賢勿貳)」는 『서경』 대우모(大禹謨)의 한 구절을 주제로 표방한 과문(科文)이다. 순제(舜帝)의 신하인 익(益)의 정치적인 이론을 표본으로 군주가 취해야 할 도리를 말하고, 왕도적인 치도 이념의 구현을 위해 현량인(賢良人)을 존숭해 기용하는 것이 국가의 융성과 발전에 핵심이라는 방법론을 제시한 던파 온 슬롯이다.
서(書) 가운데 「상유송암(上柳松菴)」은 당시 승상 유관(柳灌)에게 보낸 서한이다. 기묘사화는 마치 송대(宋代)의 간험(奸險)한 태사(太師) 한탁주(韓侂胄)가 성학(聖學)인 주자학(朱子學)을 위학(僞學)이라고 모함해 주자에게 화를 미치게 한 데 비유된다면서, 당시의 훈구파 일당을 신랄하게 비판한 던파 온 슬롯이다.
나머지 서한은 시사와 당시의 풍속이 퇴폐된 것을 한탄하면서 이의 시정을 염원한 던파 온 슬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