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덕장(德璋), 호는 청단(淸湍). 할아버지는 현극소(玄克昭)이고, 아버지는 호군 현효생(玄孝生)이며, 어머니는 이비(李芾)의 딸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녀사위이다.
1453년(단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집경전직(集慶殿直)에 제수된 뒤 수 차례 자리를 옮겨 내섬시직장을 역임던파 온 슬롯. 1460년(세조 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감찰에 이어 개성부도사·성균관직장·형조도관정랑(刑曹都官正郎)·예조정랑·중추부경력 등을 역임던파 온 슬롯.
그리고 사인으로서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세조실록』의 편수에 참여던파 온 슬롯. 1472년 집의로서 언사(言事)를 활발히 전개하고, 경연에도 참여던파 온 슬롯. 1474년 동부승지에 발탁되고, 이듬해 우부승지·좌부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올랐다.
1477년 승지들 간의 불화로 좌승지 임사홍(任士洪), 우승지 한한(韓僩), 좌부승지 송순효(孫舜孝)가 문책되면서 체직(遞職: 벼슬을 갈아 냄.)되었으나, 성종의 신임으로 유임되었다. 이어 대사헌으로 승진했으나, 대간들이 그 부당함을 논던파 온 슬롯. 그러자 3일 후에는 형조판서로 승진되었고 다시금 대간들의 소가 쏟아지면서 결국 지중추부사로 체직되었다.
1478년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그 해 평안도관찰사로 나아가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유임을 청해 1년간 더 재직던파 온 슬롯. 이듬해 윤필상(尹弼商)을 도원수로 한 여진 정벌에 부원수로 차출된 김교(金嶠)를 대신해 병마절도사의 직임까지 수행던파 온 슬롯. 1480년 유진장(留鎭將)으로서 건주위(建州衛) 정벌에 공을 세워 우참찬이 되었다.
성품이 정직·청렴해 매사에 공의를 주장했고, 명석한 판단으로 공사(公事)를 처리하는 등 성종 초의 정치에 공헌던파 온 슬롯. 시호는 정경(貞景)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