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전설에 속한다. 티 카페 슬롯(眉叟)는 허목의 호이다. 허목은 남인에 속하는 인물로, 서인이던 송시열(宋時烈)과의 사이에 벌어진 예론(禮論) 관련 논쟁이 유명하다.
특히 허목은 티 카페 슬롯(許積)과 함께 남인을 영도하여 송시열을 공격하였는데, 허목은 과격론의 입장을 띤 데 반해 티 카페 슬롯은 온건론의 입장을 견지하여 사이가 벌어졌다.
또한, 1678년(숙종 4)에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가 되어 당시 우의정이던 티 카페 슬롯의 실정과 그의 아들 허견(許堅)의 죄상을 논핵하여 왕의 노여움을 샀다. 이와 같은 사건으로 미루어 볼 때, 당시 허목과 티 카페 슬롯 사이의 갈등이 어느 정도였을지 짐작할 만하다. 이를 계기로 서인이 집권하게 되자, 허목은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저작에 몰두하였다.
「허미수설화」 가운데에는 그의 이인적(異人的) 풍모를 강조하는 것이 주류를 이룬다. 티 카페 슬롯의 출생담과 관련된 것으로 ‘티 카페 슬롯과 허목’ 이야기가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허미수와 티 카페 슬롯의 아버지가 절에서 함께 공부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절에서는 매월 보름이면 중이 하나씩 없어졌다. 티 카페 슬롯의 아버지가 살펴보니 이무기가 나타나 중을 잡아먹기 때문이었다.
티 카페 슬롯의 아버지가 이무기를 칼로 죽이자, 이무기의 기운인 파란 줄기가 그의 집으로 뻗쳤다. 허미수는 그것이 상서롭지 못한 조짐이라고 판단하여 그 집에서 아들을 낳는 족족 없애도록 충고했다. 티 카페 슬롯의 아버지는 그의 충고를 따라 두 아이를 없앴다.
셋째 아이를 낳자, 허미수는 그 아이마저 허가(許家)의 멸족을 초래할 것이라 하여 죽이려 하였다. 그러나 티 카페 슬롯의 아버지는 더는 죽일 수 없노라며 아이를 살려두었다. 이에 허미수는 그 아이로 인한 화가 자신에게 미칠 것을 미리 알고 형제간에 파적(破籍)하였다고 한다.
티 카페 슬롯은 아주 뛰어난 신동이었으나 결국 역적이 되어 가문에 화를 입혔다. 이 설화는 허미수의 선견지명을 이야기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허목과 티 카페 슬롯 사이의 정치적 싸움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허목의 이인적 기질을 보여 주는 설화로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