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 심바 슬롯 한성주보 ()

목차
관련 정보
한성주보
한성주보
언론·방송
문헌
통리아문 박문국에서 『한성순보』의 복간형식으로 1886년에 창간한 신문. 주간신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 심바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리아문 박문국에서 『한성순보』의 복간형식으로 1886년에 창간한 신문. 주간신문.
내용

우리 나라 최초의 주간카 심바 슬롯으로, 1886년 1월 25일 ≪한성순보 漢城旬報≫의 복간형식으로 박문국(博文局)에서 창간되었다. 이 카 심바 슬롯은 한지책자형(韓紙冊子型)의 양절(兩折)로 인쇄되었으며, 4호활자가 사용되었다.

편집체재는 1단제로서 1면 16행, 1행 40자, 1호 16면 또는 18면씩 발행되었다. 규격은 세로 22.5㎝, 가로 16.5㎝였다. ≪한성순보≫가 한자만을 사용한 데 반하여 이 카 심바 슬롯은 최초로 국한문을 혼용하였고, 내용에 따라 순한글 또는 순한문만을 쓰기도 하였다.

이 카 심바 슬롯은 창간사에서 밝히고 있듯이, 임금에게 충성하고 백성을 깨닫게 하는 것을 최대의 사명으로 삼았다. 1884년 4월 19일김윤식(金允植)이 통리아문독판(統理衙門督辦)에 임명되면서 발간작업이 추진되었다.

즉, 갑신정변으로 ≪한성순보≫가 폐간되자 조야(朝野:조정과 재야)에서는 다시 카 심바 슬롯 발간의 필요성이 거론되었으며, 김윤식 역시 카 심바 슬롯이 개화의 도구로서 매우 유익함을 인식하고, 정변의 뒷수습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자 카 심바 슬롯의 속간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에 5월 12일 고종은 박문국을 광인사(廣印社)로 옮겨 카 심바 슬롯을 발간하라고 명하였다.

광인사는 그 해 3월한성 성 내에 설립된 근대적 시설을 갖춘 민간 출판사였다. 그러나 광인사에서 카 심바 슬롯을 속간하는 데는 애로가 있음을 알고, 6월 12일 인쇄시설을 갖춘 박문국을 중건하는 방향으로 방침을 바꾸었다.

이에 따라 활자를 비롯하여 일체의 인쇄시설을 일본에서 도입하고 10월 28일≪한성순보≫의 편집을 맡았던 장박(張博)·오용묵(吳容默)·김기준(金基駿) 외 이명륜(李命倫)·진상목(秦尙穆)·이혁의(李赫儀)·권문섭(權文燮)·정만교(鄭萬敎)·이홍래(李鴻來) 등 6명을 보강하여 카 심바 슬롯속간작업에 나섰다.

11월 22일 이들 외 박세환(朴世煥)·현영운(玄映運)이 보강되카 심바 슬롯. 그 뒤 이혁의 대신 추백엽(秋栢燁)으로, 권문섭 대신 한중철(韓重喆)로 편집요원이 교체되었으며, 1886년 말부터는 7, 8명의 주사가 더 임명되카 심바 슬롯.

1888년 7월 7일 박문국이 폐지됨에 따라 총 120여 호를 발행하고 폐간되카 심바 슬롯. 그러나 현재 실물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여서 정확하게 몇 호까지 발행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참고문헌

『카 심바 슬롯개화사연구』(이광린, 일조각, 1974)
『한국카 심바 슬롯사』(최준, 일조각, 1965)
『한국카 심바 슬롯사연구』(이해창, 성문각, 1965)
『한국카 심바 슬롯백년지』(윤임술 편, 한국언론연구원, 1983)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카 심바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 심바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카 심바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