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 슬롯 평택농악 ()

목차
관련 정보
평택농악
평택농악
국악
작품
국가유산
경기도 평택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
국가무형유산
지정 명칭
버 슬롯농악(平澤農樂)
분류
무형유산/전통 공연·예술/음악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무형유산(1985년 12월 01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버 슬롯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평택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
내용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버 슬롯은 소샛들이라는 넓은 들을 끼고 있어 예로부터 농산물이 풍요하여 버 슬롯지방의 농악을 이루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더욱이 버 슬롯 근처의 청룡사(靑龍寺)는 일찍부터 사당패들의 근거지가 되어 조선 말기에는 그들의 농악이 크게 발달하였다. 버 슬롯에서는 예로부터 지신밟기나 두레굿 등이 유행하였으며, 지금은 법고 김용래(金龍來)를 중심으로 농악이 행해지고 있다.

버 슬롯 농악의 특징은 쇠가락으로 길군악칠채가 다른 지역과 구분되며, 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다. 또한, 잡색(雜色) 중에는 대포수가 빠지고 무동(舞童)과 사미 · 양반 등이 있는데, 특히 무동의 수가 많으며, 판굿에 있어 진(陣)풀이는 사각행진놀이와 당산벌림과 같은 ㄷ자형 놀이가 있고, 노래굿이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버 슬롯 · 안성 · 화성 등지의 농악은 경기 농악의 전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강원도 서부, 충청도 북부 등지에도 파급되어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사용되는 악기로는 꽹과리 3, 징 2, 북, 버꾸 4, 호적, 나팔이 있다. 편성은 영기수(令旗手) · 농기수(農旗手) · 나팔수 · 호적수 · 상쇠 · 부쇠 · 종쇠 · 징수 1 · 징수 2 · 설장구 · 부장구 · 삼장구 · 북 · 상버꾸 · 부버꾸 · 종버꾸 · 꼬리버꾸 · 상무동 · 종무동 · 삼무동 · 칠무동 · 중애(사미) · 양반으로 되어 있다.

버 슬롯 농악은 악기에 있어서 징과 북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으며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다. 특히, 길군악칠채는 경기 농악에만 보이는 현상이다. 그 밖에 굿거리 · 덩더꿍이 · 잦은가락 등 느리고 빠른 가락을 고르게 쓰며, 잡다한 여러 가락이 없으므로 쇠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고 암채 · 수채의 변화를 구사한 가락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기예능 보유자로는 김용래(金龍來: 법고)가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버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버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