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토크 랏 슬롯 태극 ()

목차
관련 정보
성리대전서 / 태극도설
성리대전서 / 태극도설
유교
개념
유학, 특히 성리학에서 모든 존재와 가치의 근원이 되는 궁극적 실체를 가리키는 유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유학, 특히 성리학에서 모든 존재와 가치의 근원이 되는 궁극적 실체를 가리키는 유교용어.
내용

≪주역≫ 계사(繫辭)의 “역(易)에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 있으니 이것이 양의(兩儀 : 음양)를 낳는다.”고 한 데서 유래했지만, 의미상으로는 선진유학의 천(天) 개념과 연관성을 가진다.

역의 우주관은 역에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 있고 여기서 음양→4상(四象)→8괘(八卦)로 전개되는데, 앞의 문장에서 ‘이것이’라는 말이 아리스 토크 랏 슬롯만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으로 본다 해도 ‘낳는다’는 표현이 시간적 선후가 있는 유출론적인 것인가, 아니면 존재론적인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나올 수 있다. 후에 여러 사람들이 이 문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는데, ≪한서≫ 율력지(律曆志)에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원기(元氣)로 보았고, ≪주역정의 周易正義≫에서는 천지가 나누어지기 이전에 혼돈 상태로 있는 원기로 보았다.

이는 모두 당시 팽배하던 노장사상의 영향 속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기(氣)로 본 것이다. 즉, 원기인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서 음양이 유출되어 나오는 것으로 본 것이다.

송나라의 주돈이(周敦頤)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도설 太極圖說≫을 지어 ≪주역≫에 나타난 본체관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려 했는데, 무극(無極)과 동정(動靜)의 개념을 첨가해 “무극이면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 동하면 양이 되고, 정하면 음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오행(五行)을 덧붙여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음양→오행→만물의 우주론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그는 다시 이 과정을 역추(逆推)해 “오행이 음양이고, 음양이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며,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 무극이다.”고 말한 점에서 단순히 유출론적 우주론을 주장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주자(朱子)는 이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이(理)로 규정해 형체도 없고 작용도 없는 형이상학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모든 존재자가 존재자이게 할 수 있는 근원 존재로 보았다. 이러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모든 존재자들의 존재원인이면서 동시에 구체적인 현상의 존재자들 모두의 속에도 이치로서 들어 있다.

이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서 만물이 나왔다는 논리에서 볼 때, 만물 속에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 그 원인자로 존재하게 되는 당연한 귀결이다. 그러므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만물의 총체적인 보편 원리인 동시에 특수한 개별자들의 특수 원리가 된다.

이 양면성이 보편 원리라는 점에서는 ‘통체아리스 토크 랏 슬롯(統體太極)’으로 나타나고, 특수 원리라는 점에서는 ‘각구아리스 토크 랏 슬롯(各具太極)’으로 표현된다. 이런 사실은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통해 특수와 보편을 서로 연계시켜 이해하는 것이다.

즉,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현상으로 드러나는 음양·오행·만물 속에 내재하는 보편의 원리이며, 또 개별적 존재자의 실(實)과 서로 상함(相涵)되어 있는 개별 존재의 원리이다. 따라서 현상으로 드러난 변화를 말할 때에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동정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변화의 원인을 말할 때에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본연의 묘(妙)이며 동정의 가능성을 품고 있는 것이 된다.

명대에 이르러 왕수인(王守仁)은 심즉리(心卽理)의 입장을 취해 ≪전습록 傳習錄≫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생생하는 이치(生生之理)’로 파악했고, 명말·청초의 왕부지(王夫之)는 ≪주역내전 周易內傳≫에서 “음양이 섞여 있는 이치일 뿐”이라고 하여,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음양의 양면성을 함께 갖추고 동정을 통해 모습을 드러내는 상대성을 가진 존재로 파악하였다.

우리 나라의 성리학은 본체론 보다 심성론이 주된 관심사이었지만,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대한 이해는 성리학적 심성론 전개의 바탕이 되는 까닭에 조선 초기에 매우 중시되었다. 초기의 이러한 관심은 이언적(李彦迪)에게서 두드러진다. 그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초월과 실재의 양면을 지닌 존재로 보아, 그 초월성이란 지극히 가깝고 지극히 사실적인(至近至實) 실재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혼연(渾然)과 찬연(粲然)의 양면을 함께 지니고 있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선 초월적 근원자이면서도, 불교나 도가에서 말하는 허무(虛無)·적멸(寂滅)의 본체가 아니라, 빈 듯하면서도 있고(虛而有), 움직임이 없으면서도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지닌(寂而感) 존재로 이해한다.

따라서 작용이 없는 고요함 속에 이미 능동성을 포함하고 있고, 이 능동성이 현실로 드러날 때 천하의 근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주자를 계승해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이(理)이고 만물에 앞서 있는 존재로 보아서, 이(理) 우위의 가치중시 철학을 정립해갔다.

한편, 이언적과 거의 동시대에 서경덕(徐敬德)은 이와는 다른 논리를 전개하였다. 그는 장자(莊子)와 장재(張載)의 영향 아래 주기적(主氣的)인 입장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해명하였다.

그는 우주의 본질을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으로 나누고, 선천은 태허(太虛)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태허의 본질은 허(虛)인데, 이것이 곧 기(氣)라 하였다. 그러므로 선천에는 기만 존재하고, 후천에 드러날 때 선천의 일기(一氣)가 지닌 양면성이 동정을 통해 나타나는데, 그 원인이 바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경덕에게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란 후천에서만 그 묘(妙)를 드러내는 존재로서, 기의 변화 자체가 가지는 합리적 법칙이며 궤도로 이해된다. 변화를 중시한 서경덕은 본체를 기로 파악함으로써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변화의 법칙 정도로 낮춘 것이다.

이언적과 서경덕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관은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황은 이의 능동성을 말한 이언적을 높인다. 즉,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음양·동정과 떨어져 있지 않다는 불리성(不離性)을 말하면서도, <비이기위일물변증 非理氣爲一物辯證>을 통해 이기의 부잡성(不雜性)을 강조하였다.

그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존재론만이 아니라, 도덕적 측면으로 이해해 남시보(南時甫)에게 준 편지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극은 단순한 지극의 의미가 아니라, 거기에 표준의 의미를 겸해 사방에서 그를 본받아 바로잡아가는 것”이라며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극존무대(極尊無對)의 것으로 높였다.

또한 이달(李達)·이천기(李天機)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동정이 있다는 것은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 스스로 동정한다는 것”이라고 하여,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을 능동적 존재로 이해하였다. 이처럼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대한 능동적 이해와 이·기를 나누어보려는 논리가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나누어 보는 인성론의 바탕이 되었고, 이발(理發)도 가능하다는 호발설(互發說)을 성립시켰다.

이와 달리 이이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이 모든 변화의 근본 원인이라고 이해하면서도,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독립해 있는 존재가 아니라, 변화 속에 있다는 불리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박화숙(朴和叔)에게 보낸 편지에서 “음양이 생기기 전에 아리스 토크 랏 슬롯만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고 하여, 움직이는 실체는 기이고 이는 그 원인자로 보아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능동성을 부정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였다.

송익필(宋翼弼)은 <아리스 토크 랏 슬롯문 太極問>을 통해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에 관한 여러 학설들을 물음의 형태로 종합하고, 이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이 밖에 장현광(張顯光)은 <아리스 토크 랏 슬롯설 太極說>·<무극아리스 토크 랏 슬롯설 無極太極說>·<주자아리스 토크 랏 슬롯도설 周子太極圖說> 등을 지어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연원과 개념에 대한 자세한 해명을 하였다.

정종로(鄭宗魯)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권자설 太極圈子說>과 <아리스 토크 랏 슬롯동정설 太極動靜說>을 지었으며, 유중교(柳重敎)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도설잡지 太極圖說雜識>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도설≫을 해명하면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 개념을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성리대전(性理大全)』
『주자어류(朱子語類)』
『회재전서(晦齋全書)』(이언적)
『화담집(花潭集)』(서경덕)
『퇴계전서(退溪全書)』
『율곡전서(栗谷全書)』(이이)
『구봉집(龜峰集)』(송익필)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