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본. 목판본이나 필사본은 발견되지 않고, 활자본으로 대창서원본(大昌書院本, 1919) · 태화서관본(太華書館本, 1928) 등이 전하고 있다.
조선중엽전라도 전주 부근에 사는 퇴리(退吏) 최만춘은 아내 조씨와 혼인한 지 10년 만에 트 위치 슬롯 머신라는 딸을 두었다. 그러나 트 위치 슬롯 머신가 태어난 지 100일 만에 조씨가 세상을 떠나자, 최만춘은 과부 배씨를 후처로 맞아들였다. 계모는 자기의 소생인 팥쥐만을 감싸고 전처소생인 트 위치 슬롯 머신를 몹시 학대하였다.
산비탈의 돌밭매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베 짜고 곡식 찧기 등의 어려운 일은 모두 트 위치 슬롯 머신에게 시켰으나, 그 때마다 검은 소와 두꺼비, 주1선녀, 새떼 등이 나타나 트 위치 슬롯 머신를 도와주었다. 뿐만 아니라 직녀선녀가 준 신발 덕분에 감사(監司)와 혼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트 위치 슬롯 머신는 팥쥐의 흉계에 넘어가 연못에 빠져 죽게 되고, 팥쥐가 트 위치 슬롯 머신 행세를 하였다.
그 뒤 연꽃으로 피어난 트 위치 슬롯 머신가 계속 팥쥐를 괴롭히다가 마침내 감사 앞에 나타나 자초지종을 고하였다. 감사가 연못의 물을 퍼내 트 위치 슬롯 머신의 시신을 건져내니 트 위치 슬롯 머신는 도로 살아났다. 감사는 팥쥐를 처단하여 배씨에게 보냈고, 이를 받아본 계모는 놀라서 즉사하였다.
이 작품은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신데렐라형 설화(AT Type No. 510)를 소재로 하여 소설화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트 위치 슬롯 머신팥쥐전」은 그 가운데서도 중국 민간의 ‘신데렐라형 이야기’와 같은 계통인 한국 전래의 「트 위치 슬롯 머신팥쥐설화」를 전폭 수용한 작품이다. 소가 나타나서 사건전개의 단서가 되는 점이나 결말에 가서 팥쥐와 계모에 대하여 철저한 응징을 가하는 점 등에서 알 수 있다.
이 작품이 설화를 소재로 하였으면서도 설화와 구별되는 것은 신데렐라계 설화의 대부분이 남녀주인공의 혼인으로 끝나는 데 비하여, 소설에서는 혼인 이후의 사건을 더 흥미있고 다채롭게 묘사하고 있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악한 인간에 대한 철저한 응징을 형상화하여 권선징악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단순한 설화에 윤리적인 주제를 부여하고 소설적으로 재창조하트 위치 슬롯 머신는 점에 이 작품의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