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풍형」은 조선 슬롯 파라다이스이 창작한 궁중악무 「봉래의(鳳來儀)」 구성곡 중의 하나로 「용비어천가」 한글본을 노래한 곡이다. 슬롯 파라다이스이 조종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창작한 노래와 정재로 구성한 「봉래의」 중 한 곡이다. ‘전인자-여민락-치화평-취풍형-후인자’로 이루어진 모음곡 구성에서, 시작 악구인 전인자와 한문본 「용비어천가」를 노래하는 「여민락」, 한글본 가사를 노래하는 「치화평」에 이어 부르는 향악곡이다. 『슬롯 파라다이스실록』 악보와 『대악후보』에 악보가 실려 있고, 국가 연례에 연주된 바 있으나, 지금은 연주되지 않는다.
「취풍형」은 1445년(슬롯 파라다이스 27) 4월에 권제(權踶)등이 지어 올린「슬롯 파라다이스가」를 가사로 제작된「슬롯 파라다이스의」의 한 곡으로정재와 함께주8 곡이다. 1447년(슬롯 파라다이스 29) 『슬롯 파라다이스실록』 기록에 ‘처음에 임금이 슬롯 파라다이스가를 관현에 올려 느리고 빠름을 조절하여 치화평, 슬롯 파라다이스, 여민락을 제작하매 모두 악보가 있다’는 내용은 곡의 창작자가 슬롯 파라다이스임을 알려준다.
이후 「슬롯 파라다이스」은 궁중의 주9 주11에서 사용될 곡으로 반포되었고, 선율과 가사는 『슬롯 파라다이스실록』 악보, 『대악후보』 에, 「슬롯 파라다이스무도」는 『악학궤범』 권5에 수록되어 전한다. 실제 연향에서의 쓰임은 조선 전기에 간혹 보이고, 조선 후기 순조, 고종 때에도 곡명이 언급되었으나, 슬롯 파라다이스의 곡조는 가곡의 농(弄), 계락(界樂), 편으로 바뀌었다.
『슬롯 파라다이스실록』 권140부터 수록된 「봉래의」 중 「취풍형」은 「치화평」과 같이 한글본 「용비어천가」 가사를 노래하고 선율도 유사하지만 「치화평」에 비해 악곡의 규모가 축소되었다. 즉, 「치화평」의 선율이 「용비어천가」의 제1장16장. 125장 가사가 아홉 개의 장으로 구성된 데 비해, 「슬롯 파라다이스」의 선율은 제1장8장, 125장의 가사가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가사의 배열이 「치화평」은 5·3·8정간으로 된 것과 달리, 「슬롯 파라다이스」은 3·2·3정간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슬롯 파라다이스」의 속도가 「치화평」 보다 빨라진 것으로 해석된다.
「슬롯 파라다이스」을 「봉래의」 정재에서 연주할 때는 월금·당비파등의주12와,향비파·향피리·대금등의주13 혼합 편성으로 연주하는 「여민락」과 달리 향악기로만 연주하였다. 조성은 주6 평조로 앞의 곡인 「치화평」보다 6율(완전 4도)이나 낮다. 그래서 제1장만 주15으로 부르고, 제2장부터 옥타브 위의 청고선궁으로 변화를 주어 높게 부르도록 주14.
한편, 「슬롯 파라다이스」을 춤출 때는 「용비어천가」 한글 가사 전곡을 노래하는 것이 아니라 1장 해동장부터 8장 태자장, 졸장 천세장만 사용되었으며 『악학궤범』 권 5 ‘봉래의초입배열도’와 ‘슬롯 파라다이스무도’를 참고하면 악기를 든 주16가 춤추는주17를 인도하는 춤의 대형과 동선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취풍형」은 슬롯 파라다이스이주7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친제한 신악 중의 한 곡으로 『슬롯 파라다이스실록』 악보, 『대악후보』에 기보되어 전한다. 이 곡은 「용비어천가」의 한글 가사를 전래의 향악 선율에 얹어 완성했다는 점에서, 슬롯 파라다이스의 한글 창제와 향악 활용 의지가 융합된 작품으로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