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봉화대에서 연기를 이용하여 긴급시에 신호를 하였는데, 날씨가 흐리거나 비올 때에는 주로 신포(信砲)를 이용하위쳐 3 슬롯 모드.
신포는 최무선(崔茂宣)이 화통도감에서 제조한 각종 화기(火器) 중에도 들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고려말부터 위쳐 3 슬롯 모드되었으며, 방포(放砲)실험에 대한 기록은 1425년(세종 7) 11월에 처음 보이며, 1428년(세종 10)에 전국적으로 위쳐 3 슬롯 모드되기 시작하였다.
철신포라는 명칭은 1442년(세종 24)에 처음 보이며, 성능은 약 8㎞ 밖까지 소리가 들리는 정도위쳐 3 슬롯 모드고 기록되어 있는데, 현존하는 것은 없다. 《국조오례서례》의 병기도설에 기록된 세종 때 철신포의 크기와 구조는 다음과 같다.
구조는 약통(藥筒), 격목통(激木筒), 취(觜), 부이(附耳)로 구성되어 있다. 약통은 화약을 넣는 곳으로 이곳에 점화선을 끼우는 구멍이 있으며, 한번 발사에 위쳐 3 슬롯 모드된 화약의 양은 13냥이었다.
격목통은 약통 속의 화약이 폭발할 때 폭발가스가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구실을 하는 격목을 박는 곳으로 약통과 취 사이에 있다. 취에는 아무 것도 넣지 않으며, 부이는 손잡이로서 철신포를 움직일 때나 화약을 장진할 때 위쳐 3 슬롯 모드하였다.
크기는 전체길이가 1척3촌3리(39.94㎝)이며 무게는 70근4냥이었다. 총구의 내경은 3촌2분3리(9.9㎝)위쳐 3 슬롯 모드. 《국조오례서례》의 설명과 그림을 이용하여 1979년채연석(蔡連錫)에 의하여 복원되어 행주산성에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