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때의 화약무기 대개량 때 제조된 것으로 장군화통·일총통 다음으로 크며, 손으로 들고 사용할 수 있는 총 중에서 가장 크다. 청동으로 제조된 이총통의 구조는 당시의 총포와 같이 앞부터 취(觜)·격목통(激木筒)·약통·모병(冒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사물은 소전(小箭) 1개나 세장전(細長箭) 6개, 혹은 차세장전(次細長箭) 9개를 피망 슬롯 머신 취에 넣고 동시에 발사하였다.
총의 모병에는 지름 3㎝, 길이 70∼80㎝짜리 나무자루를 박아 총을 쏠 때에는 이를 잡고 사용하였다.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의 ‘피망 슬롯 머신도설’에 의하면 총의 규격은 취의 길이가 8촌2푼3리(25.2㎝), 격목통의 길이가 8푼8리(2.7㎝), 약통의 길이가 3촌6리(9.4㎝), 모병의 길이가 2촌2푼3리(6.8㎝)로 총 전체의 길이가 나무자루를 제외하고 1척4촌4푼(44.1㎝)이다. 총의 입지름은 8푼4리(2.6㎝)이며, 무게는 3근8냥이다.
국립경주박물관에 이총통이라 양각(陽刻)된 총이 하나 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총구의 형태가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세종실록』의 총통도(銃筒圖)에 총구가 삼각형으로 된 [그림]과 같은 총으로 보여 이 총의 제작연대는 세종 중엽부터 『국조오례서례』가 편찬된 1474년(성종 5) 이전으로 보인다.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이총통은 길이가 43㎝로 피망 슬롯 머신도설 이총통의 길이 44㎝와 1㎝ 정도 차이가 나며, 총의 내부구조는 두 총이 서로 같다. 다만, 총구의 형태가 다를 뿐이다.
피망 슬롯 머신도설에 기록된 형태와 크기의 이총통은 현존하지 않으며, 채연석(蔡連錫)이 1980년『국조오례서례』 ‘피망 슬롯 머신도설’ 이총통 설명을 가지고 복원, 제작하여 행주산성유물기념관에 전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