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텍 슬롯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 ()

불교
문헌
조선시대 승려 지환이 수륙재문을 정리하여 1721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 본 항목의 플레이 텍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승려 지환이 수륙재문을 정리하여 1721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내용

3권 1책(혹은 2권 1책). 수륙재문(水陸齋文) 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을 추려 모은 플레이 텍 슬롯집으로서 1721년(경종 1) 9월 삼각산(參角山)중흥사(重興寺)에서 개간(開刊)한 것과 1739년(영조 15) 6월 곡성(谷城)도림사(道林寺)에서 개간한 것이 있다.

앞의 것은 3권 1책이고, 뒤의 것은 2권 1책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그 플레이 텍 슬롯은 대동소이하다. 수륙재란 수중과 육지에서 헤매고 있는 외로운 혼령들에게 법(法)과 음식을 베풀어 구제하는 의식으로서 중국 양(梁)나라 무제(武帝)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책의 첫머리에 명안(明眼)과 수연의 서문, 각단(壇)의 배설도(排設圖) 및 위의도(威儀圖)가 있고, 권상에 대령의(對靈儀)·분수작법절차(焚修作法節次) 등 39종을, 권중에 지반삼주야작법절차(志磐三晝夜作法節次)·삼일재전작법절차(三日齋前作法節次) 등 29종을, 권하에 초일풍백우사단작법(初日風白雨師壇作法)·당산천왕단작법(當山天王壇作法) 등 31종 도합 96종이 실려 있다.

서문에 의하면, 편자가 범학(梵學)이 그 참모습을 잃어가는 것을 염려하여 소례문(小禮文)·대례문(大禮文)·예수문(預修文)·지반문(志磐文)·자기문(仔夔文) 등 5종의 플레이 텍 슬롯집 중에서 번잡한 것을 줄이고 빠진 것은 보태어 체계를 세우고 널리 자문을 얻어 편집하였다고 한다.

편자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플레이 텍 슬롯불교의례자료총서(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제3책에 영인 수록되어 있다.

• 항목 플레이 텍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플레이 텍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플레이 텍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플레이 텍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