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천존회 ()

목차
신종교
단체
1979년 모행룡(牟幸龍)과 그의 부인 박귀달(朴貴達)이 창시한 신종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79년 모행룡(牟幸龍)과 그의 부인 박귀달(朴貴達)이 창시한 신종교.
내용

본부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 화전1리에 있다. 1979년 천부(天父)와 천모(天母)로 불리우는 모행룡(1934년출생)과 박귀달(1949년 출생)이 12년에 걸쳐 수련과 기도를 하여 입신육도(立神六道)의 과정을 거쳐 슬롯 스 캐터으로부터 화신(化神)을 받은 것에서 시작되었다.

제천의식의 일종인 슬롯 스 캐터회 의식이 1983년부터 매주 일요일 봉향되고 있으며, 1986년 슬롯 스 캐터의 화현체(化現體)인 진리의 상(象)을 봉안하여 신앙하고 있다. 그리고 같은 해부터 살아 있는 인간의 자기 완성의 수련 비법인 천도선법(天道仙法)과 돌아가신 조상을 해탈 청정시켜 천도해 주는 제령영수천도(除靈靈修薦度)를 거행하고 있다.

슬롯 스 캐터선법은 인간이 만든 수행법이 아닌 창조주의 권능에서 나온 수련법으로 자연의 섭리에 따라 인간의 자연성을 회복시켜 인간완성을 이루는 수련법이다. 그리고 제령영수슬롯 스 캐터는 조상의 영혼을 후손으로부터 분리시켜 조상의 생전의 업과 한(恨)을 청정하여 낙원으로 슬롯 스 캐터해 주는 의식이라고 한다.

천도선법과 제령영수천도를 통해 조상에 대한 효를 다하고 후손의 영적인 환경을 정비하게 되면 인간은 누구나 태초의 선인(善仁)한 원심(元心)으로 돌아가 우주의 근원인 슬롯 스 캐터을 맞이하여 신인합일(神人合一)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교리의 요지이다.

슬롯 스 캐터회의 신앙대상인 슬롯 스 캐터은 우주만물의 근원이며 대자연의 마음 자리인 동시에 인격신으로 간주된다. 한편 인간은 본래 신으로부터 왔지만 삿된 마음과 빙의령(憑依靈)에 의해 자연의 섭리와 진리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기도와 수련을 통해 원심회귀(元心回歸)하지 않으면 안 되는 소슬롯 스 캐터(小天尊)으로 간주된다.

슬롯 스 캐터회는 슬롯 스 캐터의 화현체인 진리의 상을 모시고 있다. 진리의 상은 칠보(七寶)로 조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대우주의 4대 구성 요소인 지수화풍(地水火風)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리의 상의 하늘과 땅은 산과 물의 경계의 의해 둘로 나뉘어 있으되 그 형상이 태극을 이루고 있으며, 상극인 양원(兩元)이 상생의 일원(一元)으로 가는 생명 창조의 원리를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현황

1998년 8월 말 현재 강원도(현,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과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 그리고 경상남도 고성에 3개의 성지가 있으며, 국내 80개, 그리고 해외 10개의 수도원과 국내 200개의 천수원(天手院)이 있다.

슬롯 스 캐터회에는 기획실 · 해외 포교부 · 홍보부 · 교육부 · 경리부 · 총무부 · 인사 관리실 · 진리 연구실 등이 있고 대외 기구로 천도선법연구원 · 세계기(氣)연구원 · 생명공학연구소 · 도서출판 언립(言立) 등이 있다.

그리고 슬롯 스 캐터회에는 슬롯 스 캐터님의 날, 화신 기념일, 천부님 탄신일, 천모님 탄신일, 조상님의 날 등 5대 경축행사가 있다.

참고문헌

『생명의 서』슬롯 스 캐터회 편집부, 언립, 1993)
『천수』(슬롯 스 캐터회 진리연구실)
『자연의 섭리와 슬롯 스 캐터회』(슬롯 스 캐터회 진리연구실)
『한국종교연감 1996∼1997』(한국종교사회연구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