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층을 포개고 이것을 다시 목궤(木櫃)에 넣어서 운반하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것이 있고, 서랍 몇 개를 포개어 바로 들 수 있게 제작한 것이 있다.
주로 목재를 짜서 옻칠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는데, 대나무쪽을 잇대어 엮은 죽합(竹盒)이나 박목판(薄木板)으로 짠 구조 위에 등나무줄기로 엮어 만든 등합(藤盒)도 그 나름의 장점이 있어 더러 쓰였다.
『임원경제지』의 기록이나 1868년(고종 5)에 베풀어진 『진찬의궤』 등 곳곳에 ‘왜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倭饌盒)’이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현재 전하고 있는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의 형식은 이 무렵을 전후하여 일본에서 들어와 정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조선시대 말기에는 토착적인 형식을 제작하였지만, 19세기 초반의 기록에 일본제의 우수성을 인정하였고, 마감도료로서 청록황주칠(靑綠黃朱漆)·금칠(金漆 : 蒔繪)과 화훼, 화접문양(花蝶文樣) 등을 들고 있음을 볼 때, 이 무렵에 수입된 일본제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이 수요층의 일부에서나마 공공연하게 사용되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은 목제 용기에 물기 있는 반찬을 직접 담아야 하기 때문에 피막을 형성하는 도료로서 방수·방충은 물론 식품의 부패를 지연시키는 특징을 지닌 옻칠이 필수적으로 쓰인다. 술안주 등 마른반찬을 담는 티 카페 슬롯 머신 버그의 경우에는 기름칠한 예도 눈에 띈다.
서랍을 궤에 담는 일반형식은, 궤의 앞면이나 옆면에 상하로 긴 한두줄의 투공을 내어 내장된 서랍이 밖에서 보이도록 하고, 문판은 위에서 밑으로 내려 끼워 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