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화용구(書畵用具)의 하나인 붓은 재료에 따라주1, 주2, 고필(藁筆),주3 등으로 나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모필은 짐승의 털을 원추형으로 추려 모아서 죽관(竹管) 또는 목축(木軸)에 고정시켜 만든다. 붓끝이 뾰족하고[尖], 가지런하며[齊], 털의 모둠이 원형을 이루고[圓], 힘이 있어 한 획을 긋고 난 뒤에 붓털이 힘 있게 다시 일어나는[健] 네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모필은 붓털과 붓대로 이루어슬롯 머신 하는 법. 붓털은 청설모, 족제비, 양(羊), 토끼, 너구리, 사슴, 족제비, 노루 등의 털을 이용하는데, 슬롯 머신 하는 법리붓은 1월부터 4월 사이의 전라남도 섬 지역에서 채취되는 주4와 양털을 주로 사용한다. 주5의 재료로는 시누대, 마디대, 오죽(烏竹)등이 쓰인다.
붓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겨울에 대[竹]를 베어 황토와 쌀겨를 물에 이겨 여러 번 문지른 후 햇볕에 2∼3개월 말리면 대의 독특한 색깔이 나타나는데, 건조한 곳에 저장해 두고 쓴다. 붓 만들기는 ‘털 고르기→털 말기→물끝 보기→대맞추기→마무리 작업’의 공정을 거쳐 완성하는데 모든 공정을 수공으로 처리한다.
슬롯 머신 하는 법리붓은 첨제원건(尖齊圓健)의 네 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 예로부터 우수한 붓으로 정평이 나 있었다. 털의 지방질을 적당히 제거하는 일과 털 고르기가 특히 중요한 과정이다. 제대로 만들어진 붓은 붓촉이 튼튼하여 6∼8개월 정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슬롯 머신 하는 법리붓은 1970년대까지 약 20여 가구가 붓을 제작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도시화에 따른 개발과 수요의 감소로 현재는 안씨(安氏) 일가만이 종사하고 있다. 형태 · 재료 · 용도에 따라 30여 종의 붓을 연간 6,000여 개 제작하여 주로 서울 지역에 보급하고 있다.
기능보유자 안종선(安種善)의 조부 안재환(安在煥)은 고향인 전라남도 보성, 그리고 만주 등지에서 붓을 만들다가 1930년대에 슬롯 머신 하는 법리에 정착하였다. 당시 이들의 정착으로 슬롯 머신 하는 법리에 붓 만드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슬롯 머신 하는 법리붓이 더욱 유명해졌다. 안종선의 아들 명환 · 철환 형제가 그 기능을 전수하고 있어 4대째 전승되고 있다.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으나 1987년 12월 31일 해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