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직령 ()

목차
관련 정보
김덕령 장군 의복 중 백무명납의직령포
김덕령 장군 의복 중 백무명납의직령포
의생활
의복
깃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깃의 하나.
내용

깃이 곧은 데에서 나온 명칭인데, 섀도 어 슬롯 강화으로 된 포(袍)를 그대로 섀도 어 슬롯 강화이라 하기도 한다. 포로서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교임(交衽)에 중거형(重裾型)이었다. 우리 고유복식의 포는 섀도 어 슬롯 강화에 교임·직수형(直垂型)이고 착수(窄袖)이며, 깃·도련·소맷부리에 가선(加襈)을 하고 띠를 매었다.

고려에 내려와서 중국 포제인 중단(中單)의 영향을 받아 섀도 어 슬롯 강화·교임·중거형이 되고 선이 없어졌으며, 속대를 맨 백저포가 되었다. 조선시대에 착용하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고려시대의 이 백저포가 원나라 복속기(服屬期)에 그들의 일색의(一色衣)인 질손(質孫)의 영향을 받고, 또한 명나라 섀도 어 슬롯 강화과 융합하면서 자연발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원래 우리 나라 옛 포제에 있어서와 같이 착수는 아니고 약간 관수(寬袖)인데, 중기에는 관포대수(寬袍大袖)가 유행하였고, 또 토홍섀도 어 슬롯 강화(土紅直領)을 즐겨 입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세종 31년(1449)에 내린 금제(禁制) 중에는 “서인(庶人)·공상(工商)·천례(賤隷)는 섀도 어 슬롯 강화·겹주음첩리(裌注音帖裏)를 통착(通着)한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섀도 어 슬롯 강화이 서인복으로 지정된 것을 비롯하여 하료(下僚)들의 공복(公服)으로 국속(國俗) 복식의 주류를 이루기도 하였다. ≪경국대전≫에 보이는 향리(鄕吏)·별감(別監)의 상복(常服), 궐내(闕內) 각 차비(差備)의 예복(例服)이 그것이며, ≪속대전≫에 보이는 별감·수복(守僕)의 홍섀도 어 슬롯 강화(紅直領)이 그것이다.

또한, ≪경도잡지 京都雜志≫ 풍속조(風俗條)에 의하면 “후세에 와서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무관(武官)의 상착(常着)이 되었는바, 그것은 마치 문관(文官)에 있어서의 도포(道袍)가 상복이 된 것과 같았다.”고 하였다.

이 섀도 어 슬롯 강화은 1884년의 복제변통시(服制變通時) 도포·창의(氅衣) 등 다른 광수의(廣袖衣)와 함께 착수의(窄袖衣)·전복(戰服)·사대(絲帶)로 대체되면서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
『고종실록』
『경국대전』
『속대전』
『연려실기술례집(燃藜室記述列集)』
『경도잡지(京都雜志)』
『섀도 어 슬롯 강화복식사연구』(김동욱, 아세아문화사, 197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