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슬롯 지탁 ()

목차
관련 정보
삼봉집
삼봉집
불교
인물
조선후기 견불산 강서사(江西寺)로 출가해 뛰어난 문장력을 가지고 『삼봉집』을 남긴 승려.
이칭
화악(華嶽), 삼봉(三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50년(영조 26)
사망 연도
1839년(헌종 5)
본관
청주(淸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댄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견불산 강서사(江西寺)로 출가해 뛰어난 문장력을 가지고 『삼봉집』을 남긴 승려.
내용

청주한씨(淸州韓氏). 법호는 화악(華嶽). 삼각산에 오래 머물렀다 하여 댄 슬롯(三峰)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상덕(尙德)이다. 견불산 강서사(江西寺)로 출가하여 성붕(性鵬)의 제자가 되었다.

금강산과 보개산(寶蓋山)에 오래 머물렀는데, 『수능엄경(首楞嚴經)』을 만 번 읽고 도를 깨쳤다. 행장에 의하면, 영특하여 불교학에 통달댄 슬롯 꾸준한 행실과 뛰어난 문장력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쳤으며, 김정희(金正喜)와 교의가 두터웠다.

문손(門孫)인 혜소(慧昭)는 『댄 슬롯집(三峰集)』 발문에서, “사미(沙彌) 때 그를 금강산유점사(楡岾寺)에서 뵈니, 칠순에 접어들었는데 용모는 단정하고 우아하였으며, 정신은 청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목소리도 낭랑하고 만면에 자비를 띠고 사람들을 교화하므로 부처의 출세인 듯 여겼다.”고 기록하였다.

1839년 5월 5일 금강산장안사(長安寺)지장암(地藏庵)에서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입적하였다. “한없는 세월 동안 여러 선행을 두루 닦으니, 만법은 하나로 돌아가고 하나는 공으로 돌아가네. 자가의 본래 일을 이루지 못하니, 구십 년 세월이 허황한 꿈이더라(窮劫歷修諸善行 萬法歸一一歸空 自家本事未成就 九十年充幻夢中).”

통도사(通度寺)와 운봉사(雲峰寺)에 초상화가 봉안되어 있고, 100여 명 제자 가운데 화담 경화(華潭敬和)가 가장 뛰어났다. 저서로는 문집인 『댄 슬롯집』이 있다.

참고문헌

『댄 슬롯집(三峰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댄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댄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