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 지렁이

목차
관련 정보
지렁이
지렁이
동물
생물
빈모강(貧毛綱)에 속하는 환형동물의 총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빈모강(貧毛綱)에 속하는 환형동물의 총칭.
내용

한자어로는 구인(蚯蚓)이 표준어였고 지룡(地龍)도 흔히 사용되었으며, 근인(螼蚓) · 곡선(曲蟺, 曲蟮) · 토룡(土龍) · 토선(土蟺) · 부인(附蚓) · 명체(鳴𫊧) · 원선(䖤蟺) · 가녀(歌女) · 한인(寒蚓)이라고도 하였다.

우리말로는 ‘디룡이’가 흔히 쓰였고 지룡이 · 지릉이라고도 하였다. 흙 속이나 호수 · 하천 · 동굴 등에 널리 분포하며, 바다에서 사는 것도 있다. 전세계에 약 3,100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60종 내외가 알려져 있다.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의 수명은 3~4년 으로 알려져있으며, 몸은 보통 길쭉한 기둥 모양이며 앞끝에 입이, 뒤끝에 항문이 열려 있다.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는 몸이 거의 같은 모양의 환절(環節)로 되어 있어 전형적인 체절성동물이다.

몸길이는 2∼5㎜ 정도인 것에서부터 2∼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몸의 각 환절에는 강모(剛毛)들이 배열되어 있는데 같은 환형동물인 다모류(多毛類:갯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류)에 비하여 강모의 수가 매우 적어서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류를 빈모류라고 한다.

또한,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류는 갯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류와는 달리 부속지(附屬肢:체절동물에서 각 체절에 1쌍씩 붙는 다리)나 측각(側脚:다모류에서 각 체절의 측면에 돌출한 1쌍의 잎 모양의 구조물)을 갖지 않는다.

생식기가 가까워지면 몸 앞부분의 환정 3∼5개가 합쳐져서 굵게 되고 빛깔이 변하는데 이 부분을 환대(環帶)라고 한다.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는 암수한몸이고 1쌍씩의 암수 생식공이 몸 앞부분의 앞뒤 환절에 열려 있다.

교미를 하여 각 개체는 상대방의 정자를 수정낭 속에 받아들였다가 수정시에 쓴다.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는 유기물질이 들어 있는 먹이를 먹어 분해하고, 이것을 먹는 동물이 많으므로 땅 위나 물속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빈모강은 물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 · 실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와 같은 원시빈모목(原始貧毛目)과 참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 · 줄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와 같은 신빈모목(新貧毛目)으로 나뉜다.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 중에는 낚시미끼 · 약재 · 양어용 사료로 쓰이는 것이 있다.

현황

≪지봉유설≫에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는 힘줄이 없다는 이야기와 진도(珍島) 벽파진에서 큰 구렁이가 마루 밑의 큰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가 내보낸 기운 때문에 죽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물명고 物名考≫에서는 지룡 항목에 여러 가지 한자 이명을 열거하고, 예나 지금이나 모두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는 길게 울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에 가녀라는 명칭이 있다고 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고려의 궁성에서 길이 70척이 되는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가 나왔다는 등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에 관한 이야기가 산견된다.

≪규합총서 閨閤叢書≫에도 석류를 심을 때 뿌리에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가 들면 죽으니 뜨물을 주면 없어진다는 등 몇 가지 기록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구인은 성이 한(寒)하고, 맛이 짜고,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함).”고 쓴 다음 약의 효능 · 사용법 등을 기록하였다.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에 관한 속담으로는 ‘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도 밟으면 꿈틀한다.’,‘버팔로 슬롯 머신 규칙 갈빗대’ 등이 있다.

참고문헌

『지봉유설』
『물명고』
『오주연문장전산고』
『규합총서』
『동의보감』
『동물분류학』(김훈수·이창언·노분조, 집현사,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