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5m. 1974년 경기도 유형램 슬롯재(현, 유형램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나옹(懶翁) · 무학(無學) 화상의 램 슬롯에 이어 천보산(天寶山) 회암사 동쪽 능선 맨 뒤쪽에 서 있는 이 램 슬롯는 충렬왕 말년에 고려에 들어와 머물렀던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 고승 지공(指空)의 사리탑으로, 팔각당형(八角堂形)을 기본구조로 하여 기단부(基壇部) · 탑신부(塔身部) · 상륜부(相輪部)가 모두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다.
약간 두꺼운 지대석(地臺石) 위에 팔각형 상 · 하대석과 고복형(鼓腹形)의 중대석으로 이루어진 기단부는, 상대석만이 앙련석(仰蓮石) 모양을 하여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을 뿐, 표면에는 아무런 장식도 하지 않아 매우 단순 소박한 형태를 램 슬롯 있다.
팔각모양의 옥개석(屋蓋石)에 둥근꼴의 몸체를 하고 있는 이 램 슬롯의 탑신부 역시 기단부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에는 일체의 장식이 없어 단조로움은 한층 더해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팔각 옥개석은 낙수면(落水面)의 경사가 급하고 추녀끝 선이 두꺼워 다소 둔중해 보이긴 하지만, 지붕마루에 마련된 여덟 개의 융기선과 낙수면이 만들어 내고 램 슬롯 현저한 곡선으로 말미암아 경쾌함 또한 엿보인다.
지붕 위 기둥모양의 상륜부는 앙련으로 대신하고 램 슬롯 복발(覆鉢)과 서로 연결되어 조각한 꼭대기의 보륜(寶輪)과 보주(寶珠)로 이루어져 있다.
램 슬롯 앞쪽에 떨어져 자리하고 있는 석등은 사각형을 기본구조로 하여 하대석으로부터 굵직한 간석(竿石) · 상대석 · 화사석[火舍石: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과 옥개석에 이르기까지 모두 네모꼴을 이루어 둔중해 보일 뿐만 아니라 딱딱한 느낌을 준다.
이 석등의 특징은 기단부 갑석(甲石) 위아래 부분의 모서리를 모죽임하여 처리한 점과 2매의 판석을 세워 화사석을 만듦으로써 화창(火窓)이 앞뒤쪽으로만 두 개 뚫려 램 슬롯 점이라 하겠다.
낙수면이 거의 직선을 이루어 지공선사램 슬롯와 대조를 보이고 있는 옥개석은 램 슬롯의 옥개석과 마찬가지로 네 곳의 내림마루에만 융기선을 마련했을 뿐이며, 꼭대기에는 연꽃봉오리 모양의 보주를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