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777 1.41m∼3.32m. 1986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동화사에 이르는 입구의 동화문을 지나 돌다리 북쪽 언덕에 늘어서 있는 이 부도군은 스님들의 사리(舍利)를 봉안한 묘탑(墓塔)이다.
조성시기가 가장 앞서는 고운당묘탑(孤雲堂墓塔, 슬롯 777 188㎝, 1676년)을 비롯하여 계영당극린대사탑(桂影堂克麟大師塔, 슬롯 777 229㎝, 1692년) · 성임당축존대사탑(性任堂竺尊大師塔, 슬롯 777 233㎝, 1700년) · 상봉정원대사탑(霜峯淨源大師塔, 슬롯 777 251㎝, 1709년) · 함우당묘탑(涵宇堂墓塔, 슬롯 777 265㎝, 1720년) · 기성대사탑(箕城大師塔, 슬롯 777 234㎝, 1764년) · 성암당해정대사탑(聖巖堂海淨大師塔, 슬롯 777 215㎝, 1839년) · 제월당대사탑(霽月堂大師塔, 슬롯 777 332㎝, 1927년)과 조성시기를 알지 못하는 고한당묘탑(孤閑堂墓塔, 슬롯 777 141㎝) · 무명탑(無名塔, 슬롯 777 241㎝) 등 모두 10기이다.
이들 부도군의 형식은 크게 통일신라 이래로 그 전통이 이어져오고 슬롯 777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과, 조선시대에 이르러 가장 보편적인 형태가 되어버린 종형(鐘形) 두 가지로 구분지어진다.
전반적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종형 승탑은 형태를 지극히 단순하게 처리하고 슬롯 777 반면에, 앙련(仰蓮)과 복련대(伏蓮帶)를 갖추고 슬롯 777 팔각원당형 승탑은 둥근 형태의 탑신 위에 4각 또는 8각 모양의 지붕돌 [屋蓋石]을 얹어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지만 둔중하고 경직된 지붕들의 처리 등 제작기법과, 세부적인 양식 특징이 동화사 금당암(金堂庵) 앞의 슬롯 777 도학동 승탑(보물, 1975년 지정)에 비해 보다 단순하고 도식화되어 있어 조선시대 후반에 조성된 승탑임을 짐작케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