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 카페 슬롯 증직 ()

목차
관련 정보
내암 정인홍 선생 선대배위 및 후손 증직교지류
내암 정인홍 선생 선대배위 및 후손 증직교지류
조선시대사
제도
국가에 공로가 있는 관인, 현달한 관인, 효행이 뛰어난 인물 등이 죽은 뒤에 관직이나 관계를 받거나 죽기 전에 받은 그것보다 높게 받는 인사제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국가에 공로가 있는 관인, 현달한 관인, 효행이 뛰어난 인물 등이 죽은 뒤에 관직이나 관계를 받거나 죽기 전에 받은 그것보다 높게 받는 인사제도.
내용

신라·고구려의 티 카페 슬롯제도가 언제 어디에서 연원되었고 또, 어떻게 실시되었는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삼국 모두가 빈번하게 중국과 교류하였고, 또 중국에서는 후한대(後漢代, 25∼220) 이래로 티 카페 슬롯이 행해져왔음을 볼 때 중국에서 기원된 것으로 여겨진다.

신라에서는 418년(눌지왕 2) 왜에 볼모로 가 있던 왕제(王弟 : 未欺欣)를 계교로 귀환시키고 순절한 삽량주간(歃良州干) 박제상(朴堤上)을 대아찬(大阿飡)에 티 카페 슬롯한 것이 처음이며, 이후 통일신라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고구려에서도 246년(동천왕 20) 위군(魏軍)에 거짓 항복해 위장을 찔러 죽이고 순절함으로써 국난을 구한 동부인(東部人) 유유(紐由)에게 9사자(九使者)의 티 카페 슬롯을 시작으로 고구려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고려시대에는 통일신라와 당·송의 티 카페 슬롯제를 계승해 국 초부터 중신(重臣)으로 죽은 경우나 전사자에게 1품 이하의 관직을 티 카페 슬롯하였다. 그 뒤 1023년(현종 14) 이전에 명유·명승들도 티 카페 슬롯하였고, 1029년 이전에는 후궁에게도 티 카페 슬롯했다. 이어 1033년(덕종 2) 이전에는 선대공신을 티 카페 슬롯하였다.

조선은 개국과 함께 고려의 티 카페 슬롯 제도를 계승해 국가에 공로를 끼치고 죽은 관인 등에게 정1품 이하의 관직을 티 카페 슬롯했다.

1407년(태종 7)을 전후해서는 명유·절신·효행자를 비롯해 과거 급제 후에 관직을 받지 못하고 죽은 자 등에게도 티 카페 슬롯함으로써, 보다 확대되고 체계화된 티 카페 슬롯 제도로 재정비되었다. 이것이 토대가 되어 ≪속대전≫의 편찬과 함께 명문화되면서 큰 변동 없이 조선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티 카페 슬롯 대상자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신의 경우 1등은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 2등은 순충적덕보조공신, 3등은 순충보조공신의 호가 내려졌고, 명유·절신·효행자 등은 알 수 없다.

명을 받아 외국에 나갔다가 그곳에서 죽은 경우는 품계를 올려주었고, 과거에 급제했으나 벼슬을 못하고 죽은 경우는 종6품 이하의 관직을 티 카페 슬롯하였다. 또한, 관직을 제수하였으나 취임하지 못하고 죽은 경우에도 그 직에 상당한 관직을 티 카페 슬롯하였다.

한편, 티 카페 슬롯의 사령장은 교지(敎旨)의 형식을 취하였는데 사령장을 받은 자가 이것을 베껴 써서 티 카페 슬롯자의 묘 앞에 두고 제사를 지낸 뒤 묘소(墓所)에 나가 불사르는 분황(焚黃) 의식을 행하였다.

오늘날에도 비록 명칭이 다르기는 하나 독립유공자, 전사한 군인과 경찰, 각종 순직공무원 등에게 계급을 올려주거나 훈장·상장을 수여하는 추서(追敍)도 조선시대의 티 카페 슬롯 제도와 의미가 같은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
『티 카페 슬롯왕조실록』
『대전회통』
『증보문헌비고』
『후한서(後漢書)』
『한국고문서연구』(최승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티 카페 슬롯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