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정정증보신구잡가 ()

고전시가
문헌
한인석이 유흥의 장 및 일반에 유행하던 노랫말을 수록하여 1914년에 간행한 가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꽁 머니습니다.
정의
한인석이 유흥의 장 및 일반에 유행하던 노랫말을 수록하여 1914년에 간행한 가집.
개설

B6판. 172면. 1910년대 유흥의 장을 중심으로 불려지던 노랫말을 수집하여 간행한 슬롯 꽁 머니집이다. 1914년 평양 광문책사(光文冊肆)에서 초판이 발행되었고, 1915년 증보 5판이 간행되었다. 초판이 간행된 지 1년 만인 1915년에 5판이 간행된 것으로 보아 일반의 호응을 많이 받은 듯하다. 1914년 간행된 초판은 지금까지 알려진 슬롯 꽁 머니집 가운데 가장 연대가 이른 것이다.

저작자는 한인석이라고 되어 있으나 한인석이 이들 노랫말을 창작한 것은 아니며, 당시 유흥의 장에서 불려지고 일반인들도 즐겨 부르던 노랫말을 채집하여 편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랫말의 일부가 그 이전부터 있었으며 또한 여러 슬롯 꽁 머니집에 같거나 비슷하게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용 및 형식

목록에서는 제일회에「추풍감별곡」을 싣고, 제이회에서는 「자운가」, 제삼회에서는 「춘면곡」에 이어 「진정부」 · 「청루원별곡」 등의 순으로 싣고 있으나, 본문에서는 이러한 제일회, 제이회 등의 차례가 표기되어 있지 않다. 본문은 상하 2단으로 나뉘어 상단 일 · 이행을 읽은 다음 하단 일 · 이행을 읽고 다시 상단 삼 · 사행을 읽고 다시 하단 삼 · 사행을 읽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게재 형식은 제이십오회 시조 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슬롯 꽁 머니의 상단에는 슬롯 꽁 머니에 해당하는 한자를 달아 놓아 그 이해를 돕고 있다. 시조부터는 줄글로 수록하여 놓았다. 「추풍감별곡」을 제일 앞에 내세우고 있는데, 이는 평양에서 이 노래가 널리 불려진 것을 그대로 반영한 듯하다. 그러면서 시조를 뒤로 돌려 상대적으로 시조의 비중을 낮춘 인상을 주고 있으며, 시조의 한자 표기도 시조(詩調)로 되어 있는데, 이는 오식이라 할 수도 있으나 그 이해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의의와 평가

증보 이후 54편에 달하는 많은 슬롯 꽁 머니를 수록하고 있어 그 내용이 비교적 풍부한 편이며, 최초로 간행된 슬롯 꽁 머니집이라는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슬롯 꽁 머니전집』4(정재호, 계명문화사, 1984)
『서민가사연구』(김문기, 형설출판사, 1983)
『국문학개설(國文學槪說)』(이병기, 일지사, 1961)
『슬롯 꽁 머니시가(韓國詩歌)의 연구(硏究)』(조윤제, 을유문화사, 1954)
「슬롯 꽁 머니고」(정재호, 『민족문화연구』6,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꽁 머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꽁 머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