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5판. 348면.
1936년 중앙인서관(中央印書館)과 삼문사서점(三文社書店)에서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되었고, 1948년 삼문사(三文社)에서 재크레이지 슬롯 카이토되었다.
종래 잡가집에 많이 수록되었던 노래말을 수집하여 편찬한 시가집으로, 신명균이 편찬하고김태준(金泰俊)이 교열하여 『조선문학전집』 제2권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집 상(上)』으로 ‘속가편(俗歌篇)’이란 부제를 붙여 초판을 냈다. 그 뒤 수차 재판을 하다가 광복 이후 1948년 삼문사에서 상(上)이라는 표기 없이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집’으로 출간하였다.
초판의 판권에 편집 겸 발행인이 우현기(禹玄基)로 되어 있어 많은 참고문헌이 그를 저자로 표기하고 있으나 사실은 신명균이 편찬한 책이다. 해방 후 삼문사에서 재크레이지 슬롯 카이토하였을 때는 판권에 저작 겸 발행자를 신태화(申泰和)로 표기하고 있어 편저자에 대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책머리에 1936년 편자가 쓴 범례 7항목이 있고 목차 다음에 본문이 실려 있다. 수록된 노래말은 「제비가」·「유산가」· 「매화가」 ·「소춘향가」·「집장가」·「십장가」·「형장가」·「가진방물가」·「초한가」등십이잡가에 해당하는 것들을 앞에 싣고, 이어 「숙천난봉가」 · 「거사가」·「상사진정몽가」·「규수상사곡」·「상사별곡」·「방아타령」 · 「앞산타령」 · 「뒷산타령」 · 「새타령」 등 101편이다. 노래말은 대개 3·4조 등의 율조에 따라 상하단으로 나누어 수록했으나 「수심가」 일부는 그렇지 않다.
범례에서는 이러한 시가의 수집이 김태준 · 홍구(洪九) · 권상로(權相老) · 최익한(崔益翰) · 김태흡(金泰洽) · 이희승(李熙昇) 등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고 밝히고 있다. 범례에 의하면, 원래는 우리나라의 시가를 속가 · 산림처사가 · 불교가 · 고가로 분류하여 상 · 중 · 하 3권으로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하려고 계획했으나, 속가에 해당하는 이 책만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되고 중 · 하편은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되지 않았다.
같은 잡가계의 노래말을 수록하고 있으면서도 1910년대에 간행된 잡가집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체로 잡가집 간행의 목적이 노래부르는 데 필요한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의 제공에 있었다면, 이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집은 그러한 음악적인 수요보다도 우리나라의 고시가를 수집하여 문학적인 연구의 자료로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두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해 주는 사실은 이 상편에 이어 간행하려 계획했던 중 · 하편에 실을 노래들이 「용비어천가」 · 「월인천강지곡」 · 『송강크레이지 슬롯 카이토』 · 『노계집』 등이었으며, 이러한 노래말을 수집하는 데 도움을 주고 감수한 사람들이 가객이 아니라 문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라는 점이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의 개념은 국문학에서 말하는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의 개념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그 표기도 ‘歌詞’(크레이지 슬롯 카이토)로 되어 있어 歌辭(크레이지 슬롯 카이토)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