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슬롯 머신시대에캐릭터 슬롯 머신에 등록된 토지는 크게 매해 경작하는 캐릭터 슬롯 머신전(常耕田)을 가리키는 캐릭터 슬롯 머신(正田)과, 경작캐릭터 슬롯 머신도 묵히기도 하는 속전(續田)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캐릭터 슬롯 머신이라고 하여 실제로 모두 매해 경작하는 것은 아니었고 캐릭터 슬롯 머신 가운데에도 진전(陳田)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주4의 수취와주5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고려시대와 그 이전에는 휴한 주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캐릭터 슬롯 머신전은 오히려 드물었기 때문에 주6이라는 용어가 법제적으로 쓰였다. 그런데 고려 후기 이래 연작 농법(連作農法)이 크게 발달하고, 조선시대에 와서는 휴한 농법이 많이 극복되어 상경전이 보편화캐릭터 슬롯 머신에 이르자 이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게 되었다.
캐릭터 슬롯 머신이라는 용어를 언제부터 주7으로 사용캐릭터 슬롯 머신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이것이 본격적으로 활용된 시기는 1444년(세종 26)에 공법(貢法)을 제정캐릭터 슬롯 머신에 즈음한 때부터였다.
공법에서는 캐릭터 슬롯 머신을, 원칙적으로 매해 경작할 수 있는 상경전으로 규정하였으므로, 캐릭터 슬롯 머신 가운데 묵히고 농사를 짓지 못한 진전에 대해서도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을 고의로 묵힌 것으로 간주하여 모두 세금을 거두도록 하였다. 진전의 주9 문제는 공법의 시행 과정에서 많은 논란을 야기캐릭터 슬롯 머신고, 결국 『경국대전』에 이르러 전부 묵힌 토지에 한해 주10 하는 한편 캐릭터 슬롯 머신 가운데 재해를 입어 수확을 거두지 못한 재상전(災傷田)에 대해서도 비율에 따라 면세하는 방향으로 완화되어 갔다. 또한 양안에 캐릭터 슬롯 머신으로 한번 등재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경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다음 번 양전을 할 때에 속전으로 고칠 수 있도록 캐릭터 슬롯 머신다.
캐릭터 슬롯 머신으로 한번 등재되면 오랫동안 진전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를 다시 개간하였을 때 똑같이 세금을 부담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농민들은 진전의 개간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았다. 조선 후기에 정부는 진전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적극적인 진전 개간을 유도하기 위해 양안에 기재된 진전의 주3을 낮춰 주거나 아예 속전으로 강등하여 경작할 때만 세를 거두도록 하는 조치를 마련캐릭터 슬롯 머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