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 슬롯 전생설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사람은 태어났다가 죽는 일을 반복한다는 불교의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한 설화.
• 본 항목의 버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버 슬롯 요약

버 슬롯설화는 사람은 태어났다가 죽는 일을 반복한다는 불교의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한 설화이다. 이야기 속에서 버 슬롯·현생·후생이 사람 또는 동물·식물계를 오간다. 설화 자료집 가운데 버 슬롯담이 명쾌하게 서술되고 있는 문헌은 『삼국유사』이다. 구전되는 자료로는 ‘자식으로 태어난 짐승의 후환’ 이야기가 두드러진 유형이다. 뱀·구렁이 등이 자신을 해친 주인공의 아들로 태어나 그 집안을 망하게 하는 이야기이다. 여기에는 사람이건 짐승이건 원한을 사서는 안 된다는 교훈이 담겨 있다. 구전자료의 버 슬롯담은 문헌 자료에 비해 불교적인 색채가 비교적 적다.

목차
정의
사람은 태어났다가 죽는 일을 반복한다는 불교의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한 설화.
내용

불교의 교리에 의하면 사람이 죽어서 다시 태어날 때는 꼭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또는 그 밖의 것이 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이야기 속에서도 버 슬롯과 현생과 후생이 사람이거나 동물계나 식물계를 오고갈 수도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 설화자료집 가운데 버 슬롯담이 명쾌하게 서술되고 있는 문헌의 예는 『삼국유사』버 슬롯. 『삼국유사』에는 김대성(金大城)·김유신(金庾信)·문무대왕(文武大王)·죽지랑(竹旨郎)·연개소문(淵蓋蘇文)·혜공(惠空), 사복(蛇福)의 어머니,욱면(郁面) · 악룡 등의 버 슬롯과 후생에 얽힌 이야기들이 실려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예는 김대성의 일화이다.

대성은 모량리 출신으로 집안이 궁색하여 부자인 복안(福安)의 집에서 고용살이를 하고 있었는데, 개사(開士) 점개(點開)가 복안에게 시주를 권하며 보시를 하면 만 배의 복을 받는다고 하는 소리를 듣고, 노임으로 받은 밭을 법회에 보시하여 뒷날의 응보를 빌었다.

얼마 뒤에 대성은 죽었다가 재상 김문량(金文亮, 삼국사기에는 金文良으로 표기됨.)의 아들로 다시 태어나 버 슬롯의 어머니와 현생의 부모를 두루 공양하고, 얼마 안 되어 이승의 어버이를 위하여 불국사를, 버 슬롯의 부모를 위하여 석불사를 창건하였다. 이것은 불교의 윤회사상과 인과응보의 원리가 결합되고 그 위에 사찰연기설화가 첨부된 전형적인 버 슬롯담이다.

인간관계와 동(식)물의 세계를 오가는 경우로, 원효(元曉)의 벗인 사복의 어머니와 욱면은 버 슬롯에 경을 싣고 다니던 암소였고, 혜통(惠通)이 당나라에서 물리친 악룡은 신라에 와서 버드나무로 탁신하여 혜통과 가까운 정공(鄭恭)을 괴롭혔다고 한다.

구전되는 자료로는 ‘자식으로 태어난 짐승의 후환’에 얽힌 이야기가 가장 두드러진 유형이다. 그 내용은 뱀 · 지네 · 구렁이 · 벌레 등을 해치거나 함부로 죽인 주인공에게 앙갚음을 하기 위해 그 동물이 아들로 태어나 집안을 망하게 만들어 버 슬롯의 원한을 갚는다는 이야기인데, 허적(許積)·허목(許穆) 등이 주인공인 허씨 집안의 내력으로 전하는 예화가 버 슬롯.

이것은 한번 맺힌 원한은 다음 생에라도 풀어야 한다는 사고방식을 드러내며 사람이건 짐승이건 원한을 사서는 안 된다는 교훈이 담겨 있다. 죽은 뒤에 인도환생하는 구전설화에서는 버 슬롯의 공덕이나 정성 등이 강조되면서 귀한 신분으로 다시 태어나기도 하고 버 슬롯에서 미진했던 인연을 현생에서 다시 잇기도 한다.

‘생거진천사거용인(生居鎭川死居龍仁)’이라는 이야기는 버 슬롯담에서 파생된 특이한 유형이다. 이것은 진천에 살다 죽어 저승에 갔다가 아직 수명이 남아 있어 이승으로 돌아왔으나, 본래의 몸에 다시 영혼이 들어갈 형편이 못 되어 용인에서 살다 죽은 다른 사람의 몸에 의탁한 주인공이 두 곳의 가솔을 다 거느리고 산다는 내용이다. 이 밖에도 깃털(옷감 · 종이 등)을 통하여 사람을 보면 버 슬롯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이나 버 슬롯을 알아맞히는 이인(異人) 등의 버 슬롯담에서 번져 나갔을 것으로 보이는 모티프들도 있다.

구전자료의 버 슬롯담은 문헌자료의 버 슬롯담에 비하여 불교적인 색채가 비교적 엷게 나타나고 있으며 인과응보의 사상이나 한풀이 등이 강조되면서 변신버 슬롯와 아주 가까운 위치에 놓여 버 슬롯.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9)
집필자
• 항목 버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버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버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