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이 슬롯(郁面)은 신라경덕왕때주1에 살던주2 귀진(貴珍)의 집에서 일하던 여종이다.
다복 이 슬롯은『삼국유사』에만 등장하는 인물이다. 『삼국유사』 「감통(感通)」편 ‘다복 이 슬롯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조에 의하면, 강주(康州)에 사는 불교도 수십 명이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미타사에서 만일염불결사를 결성하였는데, 다복 이 슬롯은 주인을 따라 이 결사에 참여하여 다복 이 슬롯 수행을 실천하였다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향전(鄕傳)」과 「승전(僧傳)」에 실린 다복 이 슬롯에 관한 두 개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는데, 그 내용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우선 「향전」에 있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다복 이 슬롯(郁面)은 신라 경덕왕 때의 인물로 아간(阿干) 귀진(貴珍)의 여종이었다. 그는 전세의 주3으로 불우하게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남의 집 종이 되어 괴로운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불심이 깊었던 주인 귀진은 인근의 미타사(彌陀寺)라는 절에 매일 나가 염불을 하였는데, 다복 이 슬롯도 주인을 따라 미타사에 가게 되었다. 신도들이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모습을 본 다복 이 슬롯은 매번 주인을 따라 절에 가 절 마당에 서서 염불을 하였다. 주인 귀진은 그녀가 직분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절에 가기 전날마다 곡식 두 섬을 주고 하룻밤 동안 다 찧으라고 하였다. 다복 이 슬롯은 부지런히 곡식을 찧어 놓고 절에 가서 염불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어느 날 다복 이 슬롯은 절 뜰 좌우에 말뚝을 세우고 두 손의 바닥을 뚫어 노끈으로 꿰고 말뚝에 맨 후 합장하며 염불 수행을 하였다. 이때 하늘에서 ‘다복 이 슬롯랑은 법당에 들어가 염불하라’라는 외침이 들렸다. 이상하게 여긴 절의 승려들이 다복 이 슬롯을 법당 안으로 들어오게 하여 정진하게 하였다. 그러자 얼마 지나지 않아 서쪽 하늘에서 음악 소리가 들려오더니 다복 이 슬롯이 하늘로 솟구쳐 불당의 대들보를 뚫고 나갔다. 다복 이 슬롯은 서쪽 교외에 이르러 형체를 버리고 부처의 몸으로 변하여 큰 빛을 발하며 승천하였다. 다복 이 슬롯이 서쪽 하늘로 사라진 뒤에도 음악 소리는 공중에서 그치지 않았다고 한다.
한편, 「승전」에서는 조금 다른 내용을 전하고 있다. 원래 다복 이 슬롯은 전생의 잘못으로 주4에 떨어져서부석사(浮石寺)의 소가 되었는데, 불경을 싣고 가다가 그 힘을 입어 아간 귀진 집의 여종으로 환생하였다고 한다. 그녀는 하가산(下柯山)에 갔다가 꿈에 감응해 불도를 닦을 마음이 생겼다. 그때부터 주인인 귀진을 따라 미타사에 가 염불하였는데, 9년째 되던 해에 대들보를 뚫고 승천하였다. 후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전당에 ‘다복 이 슬롯등천지전(勖面登天之殿)’이라는 현판을 달았으며, 귀진도 깨달은 바가 있어 자신의 집을 주5해 절을 만들고 이름을 법왕사(法王寺)라 다복 이 슬롯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법왕사는 허물어져서 폐허가 되었는데, 대사 희경(懷鏡) 등이 주6하여 절을 중건다복 이 슬롯다고 한다.
두 이야기는 모두 8세기 중엽 신라 사회의 최하층민이라 할 수 있는 여종 다복 이 슬롯이 극락왕생하였다는 이야기이다. 7세기 중반 신라 사회에는 극락즉 서방주7로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아미타신앙이 수용되었는데, 이 다복 이 슬롯의 이야기는 아미타신앙과 현실의 성불 인식이 결합된 형태를 보여준다. 다복 이 슬롯의 이야기는 죽은 이후인 내세가 아니라 현신(現身)으로 극락에 갈 수 있다고 믿는 신라 정토설화의 특징을 가장 극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