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치 슬롯 합장 ()

목차
관련 정보
예불
예불
불교
개념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의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불교예절. 불교의식 · 경례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파치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의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불교예절. 불교의식 · 경례법.
내용

원래 파치 슬롯은 흩어진 마음을 일심(一心)으로 모은다는 뜻이다. 다섯 손가락을 붙이는 것은 눈·귀·코·혀·피부 등이 색깔·소리·냄새·맛·감촉을 좇아 부산히 흩어지는 상태를 한 곳으로 향하게 한다는 뜻이다.

손바닥을 마주붙이파치 슬롯은 이 앞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을 감지하고 조정하는 제6식인 의식(意識)을 모은다는 뜻을 상징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보통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파치 슬롯인데, 손가락만을 합하고 손바닥을 합하지 않파치 슬롯은 마음이 거만하고 생각이 흩어졌기 때문이라 하여 꺼리게 된다.

또한, 합해진 손 모양이 가지런하지 않을 경우에도 마음이 올바르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하여 몹시 주의한다. 또한, 이 파치 슬롯의 자세는 다툼이 없는 무쟁(無諍)을 상징하는 것으로, 파치 슬롯한 상태로는 싸움을 할 수 없으며 동정(動靜:움직임과 고요함) 및 자타(自他)의 화합을 뜻한다.

또, 연화파치 슬롯(蓮花合掌)이라 하여 두 손의 열 손가락과 손바닥을 함께 합하여 연꽃봉오리모양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더러움 속에 있으면서도 항상 맑고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꽃의 의미를 상징화한 것으로, 불교의식의 초기 단계에서는 이러한 파치 슬롯을 하였다. 그런데 봉오리의 모양을 갖춘 이 상태가 미래불(未來佛)인 미륵불(彌勒佛)의 시대에 이르면 활짝 핀 연꽃모양의 파치 슬롯을 하게 된다는 설이 있다.

또한, 밀교(密敎)에서는 두 손을 합하는 것을 정혜상응(定慧相應 : 선정과 지혜가 서로 응함)과 이지불이(理智不二:본체의 세계와 지혜로운 작용의 세계가 둘이 아님)를 나타내는 것이라 하여 그 공덕 또한 넓고 크고 한량없다고 보고 있다. 불교인은 승속(僧俗)을 막론하고 파치 슬롯으로 인사법을 삼고 있으며, 불교정신의 기본이 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칙수백장청규(勅修百丈淸規)』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파치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파치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