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전남사학회 ()

목차
현대사
단체
1987년 3월에 광주에서 설립된 역사연구 학술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87년 3월에 광주에서 설립된 역사연구 학술단체.
내용

광주의 위쳐 3 슬롯 모드대·조선대·호남대·광주대와 위쳐 3 슬롯 모드의 목포대·순천대 사학과 교수, 광주박물관의 학예관들 그리고 중·고등학교의 역사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역사학·고고학·역사교육의 연구 증진을 위해 학회 설립을 추진했다.

3월 14일에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회장에는 최웅(위쳐 3 슬롯 모드대)을 선출하고, 각 대학과 박물관 그리고 중·고등학교 교사로 이사를 구성했으며 총무간사에는 이상식이 임명되었다. 이후 매년 정기적인 학술대회와 4∼5차의 발표회를 가지며 매년 12월에 ≪위쳐 3 슬롯 모드사학≫을 발간하고 정기총회와 연구발표회를 겸해서 갖는다.

회장의 임기는 2년이고, 중요 사항은 이사회를 열어 결정하며, 실무는 총무간사를 중심으로 게재 위쳐 3 슬롯 모드의 심사와 학술발표회 및 학회지 발간을 추진한다.

최웅이 4년 동안의 임무를 마치고 1991년 12월에는 배종무(목포대)가 회장에 선출되어 유원적을 총무간사로 임명하여 2년간 학회를 이끌었고, 1993년 12월에는 송정현(위쳐 3 슬롯 모드대)을 회장에 선출하여 김동수가 총무간사를 맡았다.

또한 1995년에는 박형관(조선대)을 회장에 선출하여 전지용이 총무간사를 맡았으며, 1997년에는 이상식(위쳐 3 슬롯 모드대)을 회장으로 선출하여 최영태가 총무간사를 맡았다.

그 뒤 1999년에는 이홍길(위쳐 3 슬롯 모드대)을 회장에 선출하여 박만규가 총무간사를 맡아 2001년 12월까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학회는 연구활성화와 학회지 발간을 계속했으며, 회원의 전국적인 확보와 활발한 학술교류를 추진하였고 ≪위쳐 3 슬롯 모드사학≫을 ISSN-1229-5612로 등록하였다.

≪위쳐 3 슬롯 모드사학≫은 1999년 말 현재까지 13집을 발행했는데, 제1집(1987)은 이보형의 1619년 버지니아 식민지에 온 흑인에 관한 소고를 비롯하여 6편의 논문을 수록했고, 제2집(1988)은 이종범의 <1930년대 초의 궁민구제 토목사업의 성격> 등 5편의 논문과 ≪임전일록≫ 해제를 수록했다.

제3집(1989)은 이강래의 <삼국사기 分註의 성격> 등 7편의 위쳐 3 슬롯 모드을 수록했으며, 제4집(1990)은 김동수의 <조선 초기의 군현제 개편작업> 등 7편의 위쳐 3 슬롯 모드을 수록했다.

제5집(1991)은 이계명의 <중국 과거제의 성립>등 5편의 논문을 수록했으며, 제6집(1992)은 전형택의 <조선후기 사노비의 추쇄> 등 6편의 논문을 수록했고, 제7집(1993)은 기획특집으로 <위쳐 3 슬롯 모드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및 5편의 논문을 수록했으며, 제8집(1994)은 조원래의 <정유재란과 호남의병> 등 9편의 논문을 수록했다.

제9집(1995)은 최웅의 <1897년 일본의 하와이 위협> 등 9편의 위쳐 3 슬롯 모드을 수록했고, 제10집(1996)은 윤희면의 <능주 양사재 연구> 등 5편의 위쳐 3 슬롯 모드을 수록했으며, 송정현 교수의 정년퇴임을 기념한 제11집(1997)은 김두진의 <신라하대 선종사상의 성립과 그 변화> 등 20편의 위쳐 3 슬롯 모드을 수록했다.

제12집(1998)은 김당택의 <고려창왕원년의 김저 사건> 등 10편의 위쳐 3 슬롯 모드을 수록했으며, 제13집(1999)은 이홍길의 <제2차 국공합작과 영도권 경쟁> 등 6편의 위쳐 3 슬롯 모드을 수록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