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사이트 제작 적전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 시대 권농책으로 국왕이 농경의 시범을 보이기 위해 의례용(儀禮用)으로 설정한 토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슬롯 사이트 제작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 조선 시대 권농책으로 국왕이 농경의 시범을 보이기 위해 의례용(儀禮用)으로 설정한 토지.
내용

『고려사』에 의하면 983년(성종 2) 국왕이 친경(親耕)하는 의례를 시작했고, 인종 때에도 이를 실시한 기록이 보인다. 슬롯 사이트 제작시대에는태종 때 옛 서울 개성의 보정문(保定門) 밖에 서슬롯 사이트 제작(西籍田) 약 300결(結)을 설치하였다.

이는 고려 말의 권신 임견미(林堅味)·염흥방(廉興邦) 등의 토지를 몰수한 것이었다. 또 한성의 흥인문(興仁門)밖에동슬롯 사이트 제작(東籍田) 약 100결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의 경영은 처음에 전농시(典農寺)소속의노비를 동원하였다. 그리고 그 수확으로 종묘(宗廟)·사직(社稷)등의주1으로 삼았다.

그러나 차차 노비의 선상(選上)에 어려움이 있고 또 고역으로 노비의 도망이 잇따랐다. 이에 태종 때부터 서슬롯 사이트 제작은 그 소재지 부근의 농민을 동원해 경작하게 하였다. 그리고 세종 때부터는 동슬롯 사이트 제작 또한 그 소재지 부근의 농민을 동원하였다.

다시세조 때에는 동슬롯 사이트 제작은 양주(楊州), 서슬롯 사이트 제작은 풍덕(豊德)의 농민 각각 100명과 200명을 농군(農軍)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경작지 10결당 1명을 차출하도록 하고 공부(貢賦) 외의 잡역을 면제해 경작에 전념하게 하였다.

그 뒤 동원되는 농군들의 고역이 문제되어 다시 양주 · 풍덕 지역 거주의 슬롯 사이트 제작을 윤번으로 각각 100·200명씩 동원하도록 규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경국대전』 호전(戶典) 슬롯 사이트 제작조에 “슬롯 사이트 제작은 그 부근의 농민에게 경작하게 하되 민전(民田) 10결 단위로 1부(夫)를 동원하고, 3부가 슬롯 사이트 제작 1결을 경작하며 그들에게는 공부 이외의 잡요역(雜徭役)을 면제한다.”라고 규정하였다.

그런데 서슬롯 사이트 제작은 그 관리가 허술해 태종 때 설치한 300결이 세종 때의 양전(量田)에서는 모두 관인(官人) 또는 개성 농민이 점유하고 불과 70결밖에 남지 않았다. 그리하여 조선시대 전 기간을 통해 슬롯 사이트 제작은 계속 존치되었으나 국왕의 의례적인 친경은 동슬롯 사이트 제작에서만 거행되었다.

18세기의『속대전』에 의하면 국왕의 친경 때에는 정전(井田)의 제도를 본떠 활용하고, 기장[黍] ·[稷] ·[稻] ·[梁]를 수확해 자성에 사용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주석
주1

예전에, 나라의 큰 제사에 쓰는 기장과 피를 이르던 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슬롯 사이트 제작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사이트 제작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