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나라 주소 장정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책의 표장 중 어느 하나를 정하여 제책하는 장식. 꾸밈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나라 주소습니다.
목차
정의
책의 표장 중 어느 하나를 정하여 제책하는 장식. 꾸밈새.
내용

넓은 의미로는 동양 고유의 동장(東裝)과 서양에서 도입된 양장(洋裝)을 총칭한다. 그 중 동장은 책장을 풀로 이어 붙여 두루말거나, 접어 개거나, 각장의 뒷면 한쪽을 서로 붙이거나 또는 접어 중첩한 일단(一端)을 편철한 다음 그 겉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정한 형태로 꾸미는 것을 일컫는다.

장정의 용어를 한자로는 ‘裝訂’ · ‘裝釘’, 또는 ‘裝幀’을 쓰고 있다. 그 중 ‘裝釘’은 약간의 문헌에 ‘정서(釘書)’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듯이, 주1에 있어서 뾰족한 쇠붙이로 구멍을 뚫어 끈으로 꿰매거나 또는 요즈음의 가장정(假裝訂)에 있어서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제책하는 경우에 알맞은 용어이다. 그러나 주2·절첩장(折帖裝)·호접장(蝴蝶裝) 등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책의 모든 표장에 적용되는 포괄적인 개념의 용어는 될 수 없다.

한편, ‘裝幀’의 ‘幀’은 『집운(集韻)』에 ‘그림족자[張畫繪]’라 하였고, 주3에 ‘대틀 안의 비단에 그린 그림[緝畫在竹格也]’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본래 비단에 그려 족자 또는 액자로 꾸민 그림에서 유래된 것이므로, 표지에 미술적인 장식과 의장(意匠)을 가하여 꾸민 것에만 적용될 슬롯 나라 주소다. 따라서, 모든 표장에 적용되는 용어로는 특정 형태의 서책으로 바르게 정한다는 뜻을 지닌 ‘訂’자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동양에서는 책의 장정이 권자본 · 절첩장 · 호접장 · 포배장(包背裝)·선장의 차례로 변천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권자본이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주로 사용되었고, 절첩장은 고려 후기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호접장은 별로 사용되지 않았으나 법첩(法帖)탁본 등에서 그 변형을 약간 볼 슬롯 나라 주소고, 포배장은 고려 말기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책에서 다소 볼 슬롯 나라 주소을 정도이다. 선장은 고려 말기 이후 조선조의 고서 대부분에서 볼 슬롯 나라 주소는데, 우리 나라의 선장본은 일반적으로 겉장을 누렇게 하고 끈은 빨갛게 염색하여 각종 문양을 날인한 다음, 구멍을 다섯 개 뚫어 철장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표장하는 것을 ‘ 장황(裝潢)’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고서분류목록법』(천혜봉, 슬롯 나라 주소도서관협회, 1970)
『슬롯 나라 주소서지학연구』(천혜봉, 고산천혜봉교수정년기념선집간행위원회, 1991)
『슬롯 나라 주소서지학』(천혜봉, 민음사, 1997)
『집운(集韻)』
『정자통(正字通)』
「中國書裝考」(李耀南, 『圖書館學季刊』 4-2, 1930)
『書誌學序說』(長澤規矩也, 吉川弘文館, 1960)
주석
주1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책의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는,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의 하나. 우리말샘

주2

두루마리로 된 책자. 또는 그렇게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 우리말샘

주3

중국의 음운 자서(字書). 명나라의 장자열(張自烈)이 지은 것으로, 청나라의 요문영(寥文英)이 자휘(字彙)의 형식을 따라 새로 편집ㆍ간행하였다. 12권.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나라 주소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나라 주소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슬롯 나라 주소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