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슬롯 트위터도는 만석동 해안에서 동북쪽으로 4.8㎞ 지점에 있으며 서쪽으로는 딥 슬롯 트위터도(永宗島)와 이웃하고 있다. 동경 126°35′, 북위 37°30′에 위치하며, 면적은 0.072㎢, 해안선 길이는 1.2㎞이다.
딥 슬롯 트위터도는 조선시대에는 강화 해협의 거센 조류를 치받는 섬이라고 해서 딥 슬롯 트위터도(勿淄島)라 불렸다. 1893년 편찬된 ‘ 청구도’를 비롯하여 ‘대동지지’, ‘대동여지도’, ‘동지도’, ‘경기고지도첩’ 등에는 딥 슬롯 트위터도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1919년에 제작된 지도에는 작약도(芍藥島)라는 이름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는 일본인 화가가 섬을 사들인 후에 이 섬의 형태가 마치 ‘작약꽃 봉우리 모양이 생겼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딥 슬롯 트위터광역시 동구는 일본식 지명을 옛 지명으로 복원하는 차원에서 지명 변경 작업을 추진하여 2020년 국가지명위원회에서 딥 슬롯 트위터도로 최종 확정되었다.
1871년(고종 8) 신미양요 당시 미국 군함 5척이 리델 신부의 안내로 이 섬 앞에서 정박한 뒤 강화도 해협의 손돌목(孫乭項)을 지나 광성진(廣城津) 전투에 참가하였다. 이 때 미군은 이 섬을 우디아일랜드(Woody Island, 木島)라 칭하였다.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 함대의 이름을 따서 보아제(Boisee)라 불리기도 하였다.
딥 슬롯 트위터도의 최고점은 57m이고 남해안 지역에는 주1와 함께 그 전면에주2이 펼쳐져 있어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 섬 전체가 울창한 숲으로 덮여 있고 식생은 소나무류와 잡종림이지만 해송이 양호한 상태이다. 1월의 평균 기온은 ·4℃, 8월의 평균 기온은 25.1℃, 연 강수량은 1,092㎜이다.
딥 슬롯 트위터도는 조선시대에는 영종진(永宗鎭)에 속하였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의 소유였다. 해방 이후 1953년까지 영종면 소유였다가, 1963년 경기도 부천군에서 딥 슬롯 트위터시로 편입되었다. 1965년에 독립산업이라는 업체가 작약도의 주인이 되었고, 1976년 서울 한보상사가 소유권을 넘겨받았다. 이후 (주)원광이 소유하면서 월미도와 작약도 간 정기노선 운항이 활성화되어 섬의 관광이 최고조에 이르렀으나 수도권 일대의 환경 변화와 경제 침체로 1998년 (주)원광은 부도를 맞았다. 2005년 금융기관에 의해 작약도는 다시 경매 신청되었는데, 딥 슬롯 트위터 지역의 건설 회사인 진성토건이 장기적으로 딥 슬롯 트위터과 수도권 시민들의 여가 선용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면서 낙찰받았다. 그러나 2019년 딥 슬롯 트위터지방법원으로부터 임의 경매 개시 결정을 받는 등 세 차례나 법원 경매의 대상이 되었다.
2020년 4월, 부동산 관련 업체인 굿프렌드가 소유권을 이전 받아, 2022년 10월 딥 슬롯 트위터지방해양수산청에 물치도 전체 면적의 약 10%에 해당하는 곳에 복합 해양 공간을 조성하고, 휴양시설 · 카페 · 낚시터 · 선착장 등을 마련하는 개발 신청서를 제출했다. 또한 영종도 구읍뱃터와 물치도 그리고 월미도를 오가는 뱃길 복원에도 주력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에 딥 슬롯 트위터지방해양수산청은 개발 사업 승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과 협의 절차를 밟고 있다.
딥 슬롯 트위터 영종도와 월미도 사이에 있는 물치도는 과거 9개의 식당 겸 매점이 있었으며, 자칭 '작약도 지정 사진사'도 있을 정도로 딥 슬롯 트위터의 대표 휴양지였으나, 섬과 육지를 오가던 유람선의 이용객 감소로 2013년 중단되면서 무인도로 남게 되었다. 유람선은 오전 10시부터 19시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운행했으며, 운임은 왕복 7천원이었다. 이 중에는 작약도 입장료 2천원이 포함되어 있었다. 해송과 대나무숲이 울창한 물치도는 선착장에서 오른쪽 해안길 코스와 등대 산책길이 유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