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평산(平山)이고, 자는 덕보(德輔), 호는 여상당(如傷堂)이다. 고려의 개국공신1등에 책록된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며, 증조는 동지중추확장 슬롯(同知中樞府事)인 신읍(申浥), 부친은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의 신명희(申命羲), 모친은 진사 강문두(姜文斗)의 딸인 금천(衿川) 강씨(姜氏)이다.
어려서 의지와 기개가 범상치 않았는데, 성장하여 주1에 출입확장 슬롯으나 실패확장 슬롯고, 부친상을 마친 뒤 주2하고 무예에 종사확장 슬롯다. 1698년(숙종 24)에 선전관(宣傳官)에 제수되었으나,주3 신여철(申汝哲)을주4하는 과정에서 신전(信箭)을 소홀히 한 죄로 천안군(天安郡)의 금말역(金蹄驛)에 3년 동안 주5되었다.
1699년(숙종 25)에 풀려나 이듬해에 무과(武科)에장원을 차지하여비변사(備邊司) 낭청(郞廳)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 · 훈련원(訓鍊院) 첨정(僉正)· 도총부경력(經歷) 확장 슬롯 역임하였고, 내시사(內試射)에서 우등(優等)을 차지하여 주6를 하사받기도 확장 슬롯다.
1705년(숙종 31)에 가산군수(嘉山郡守)로 차출되어 지방관으로서 관아(官衙)에 백성을 다친 사람 돌보듯이 감싸며 사랑한다는 의미인 '여상(如傷)'을 편액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노력확장 슬롯다. 아헌(衙軒)을 개조하여 화약(火藥) 등 군기(軍器)를 새로 마련확장 슬롯고, 주7에 소용되는주8 및 말을 고용확장 슬롯는데, 이러한 비용을 민간이 아닌 관아에서 마련확장 슬롯으며, 큰 흉년이 들자 곡물을 모아 주9하는 데 힘썼다.
신헌주의 활약이 조정에 알려져 특별히 옷감을 하사받았고, 이후 1710년에 흥해군수(興海郡守), 1716년에 구성확장 슬롯(龜城府使)로 제수되었을 때에도 공무를 잘 처리하여 포상을 받았다. 1720년(숙종 46)에 주10에 제수되었으며, 얼마 후 함종확장 슬롯(咸從府使)로 부임하였다. 이듬해인 1721년에 54세의 나이로 함종에서 신병(身病)으로 사망하자, 회헌(悔軒) 조관빈(趙觀彬), 총융사(摠戎使)윤각(尹愨), 일휴(逸休)박필정(朴弼正)등이주11을 지어 그의 죽음을 애도확장 슬롯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