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책. 필사본. 내용은 크게 지리편과 인물 및 시문편으로 나누어진다. 제1책은 지리편으로 1477년(성종 8)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슬롯 머신 잘하는 법지도지(善山地圖誌)와 지리도십절(地理圖十絶)을 수록하였다.
그리고 이어 제1의 지리(地理)에 연혁·형승(形勝)·산천(山川)·성단(城壇)·수택(藪澤)·지거(池渠)·봉수(烽燧)·영현(嶺峴)·진교(津橋)·방리(坊里)·역원(驛院)·전야(田野)·성씨(姓氏)·분묘(墳墓) 등이 있고, 제2슬롯 머신 잘하는 법 풍속(風俗)이 실려 있다.
제3의 공부(貢賦)슬롯 머신 잘하는 법 전결(田結)·호구(戶口)·토산(土産)·토공(土貢)·진상물건(進上物件)·창곡(倉穀)·군총(軍摠)·잡역(雜役) 등이 있고, 제4슬롯 머신 잘하는 법 관수(官帥)가 있다.
제5의 학교(學校)슬롯 머신 잘하는 법 향교(鄕校)·학제(學制)·학전(學田)·전복(典僕)·서원(書院)이 있고, 제6의 질사(秩祀)슬롯 머신 잘하는 법 단유(壇壝)·묘제(墓制)가 있으며 제7의 공서(公署)슬롯 머신 잘하는 법 객관(客館)·공아(公衙)·사창(司倉)·관청(官廳)·부사(府司)·군기고(軍器庫)·대동청(大同廳)·무학당(武學堂)·향사당(鄕射堂)·봉하루(鳳下樓)·사마소(司馬所)가 있다.
제8의 고적(古蹟)슬롯 머신 잘하는 법 선산의 고호(古號)·부곡(部曲)·누정(樓亭)·산성(山城)·사암(寺庵)·굴혈(窟穴)·의구총(義狗塚)·의우총(義牛塚)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2책은 인물을 실었는데 후비(后妃)·선현(先賢)·훈열(勳烈)·문무(文武)·음사(蔭仕)·응천(應薦)·숙행(淑行)·기예(技藝)·효자(孝子)·열녀(烈女) 등으로 나누어 각기 행적과 업적을 기술하였다.
제3책은 보유(補遺)로 선산출신 길재(吉再)·하위지(河緯地)·고응척(高應陟) 등의 행장·언행록·묘비문을 실었고 제4책은 보유 및 별집으로서 선산 출신 인물의 잡저·소장(疏章)·시문·제문·만장 등으로 되어 슬롯 머신 잘하는 법.
이 중 지리편은 조선 전기 군현의 행정 체계, 관청·관원의 내부 구조, 호구(戶口)와 전결(田結), 직역(職役)·조세(租稅)·공물(貢物)·진상의 부과 징수에 따른 연구 등에 귀중한 슬롯 머신 잘하는 법가 된다.
인물편은 선산 출신이거나 선산과 관계가 있는 인물을 망라하여 그들의 약력·행적 및 관계 시문 등을 실어 조선 전기 선산 지방의 인물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편찬 체재와 항목 및 기재 내용이 다른 읍지에 비하여 특이하다. 인재(訒齋)의 연보슬롯 머신 잘하는 법 최현이 편찬하였다고 되어 있으나 초고본으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후인들의 추기(追記)가 있었던 것 같다.
대략 인조 연간에 완성된 이 읍지는 최현의 후손들에 의하여 면면히 전해오다가 1983년 슬롯 머신 잘하는 법문화원에서 ≪일선지≫와 ≪인재속집 訒齋續集≫에 수록되었던 <인재가사 訒齋歌辭>와 연보를 합쳐 영인, 간행하였다.
또한, 1477년에 김종직이 슬롯 머신 잘하는 법부사로 있을 때 작성하였다는 슬롯 머신 잘하는 법지도지는 뒷날의 읍지와는 다르게 먼저 지도를 그린 다음 그 위에 산천·방리·창고·역원명과 호구·군역·전결수를 첨가한 한 장의 지도이다.
이 읍지는 체재와 항목 설정이 조선 중기, 또는 후기의 읍지와도 다른 독특한 지지로서 조선 전기 선산 지방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형승조슬롯 머신 잘하는 법 하륜(河崙)·김종직의 시가 있고 성단조슬롯 머신 잘하는 법 금오산성이 고려 말 왜구침입 때와 임진왜란 때 한 역할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체찰사 이원익(李元翼)이 개수한 사실이 적혀 있다.
토공조슬롯 머신 잘하는 법 21개 품목의 각 기관별 납품 내역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지방재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풍속조슬롯 머신 잘하는 법 선산에 인재가 많은 것을 나타낸 김종직의 시가 있다. 선산문화원에 소장되어 있다. 이 밖에도 김종직이 편찬하고 그 뒤 개수된 ≪일선읍지≫가 장서각도서에 있으며, 김종직이 편찬하고 후사된 ≪일선지≫가 규장각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