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 인현왕후전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전기체 소설.
이칭
이칭
인현왕후민씨덕행록(仁顯王后閔氏德行錄), 민즁뎐덕ᄒᆡᇰ녹(閔中殿德行錄), 민즁전긔(閔中殿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은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전기체(傳記體) 소설이다.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은 궁중 비사를 소재로 한 궁중문학 작품으로,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덕행과 생애, 그리고 장희빈의 악행과 함께 장희빈의 말로를 그려 낸 소설이다. 이 작품에는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 및 숙종, 장희빈 뿐만 아니라 민비의 폐출을 반대하다 희생된 박태보의 사적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 작품은 「한중록(恨中錄)」, 「계축일기(癸丑日記)」와 같은 성격의 궁중소설로 다루어져 왔으나 개인에 입각한 것이 아닌 객관적 입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정의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전기체 소설.
작자 및 이본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仁顯王后傳)」은 궁중이라는 특수층을 배경으로 하는 궁중문학이자 숙종 당시의 궁중을 배경으로 왕가 일문에서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가 겪어야 했던 생애를 소설체로 엮은 작품이다. 작자는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를 모시고 있던 궁인이 쓴 여성의 작품이라는 설이 있으나, 최근의 연구로는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 폐출에 반대하였던 박태보(朴泰輔)의 문중에서 지었다는 설과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친정 가문에서 지은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작품의 성립 연대는 ‘정조(正朝)’이후, 또는 영조대(英祖代), 민비 승하 이후 등으로 이본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의 이본은 구활자본 1종을 제외하고 모두 한글 필사본으로, 현전하는 이본은 20편으로 이본 간 편차가 크지 않다. 각 이본의 명칭은 그 소장자의 이름이나 소재에 따라 달라진다. 그 가운데 묘사의 세밀성과 구성의 치밀성, 체계적인 서술의 일관성, 표현의 고전적 특성 등에 의거하여 가람본을 주1으로 삼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민씨덕행록(仁顯王后閔氏德行錄)’ · ‘민즁뎐덕ᄒᆡᇰ녹(閔中殿德行錄)’ · ‘민즁전긔(閔中殿記)’ 등의 이칭으로도 불린다. 내용은 민유중(閔維重)의 딸인 주인공 민비가 출생하는 데서부터 숙종의 주2로 입궐하게 되어, 숙종과 주3 사이에서 겪은 파란만장한 사건들을 작품화한 것이다.

내용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병조판서를 지낸 민유중의 딸로, 숙종의 전취 부인인 인경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가 죽은 후 숙종의 외조부 김공의 천거로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로 책봉되었다. 덕이 높고 효성이 지극했으나 후사를 얻지 못해 왕에게 후궁을 얻을 것을 간청하였다.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시녀로 있다가 왕의 총애를 얻어 희빈이 되었고 왕자를 낳은 후 거짓 요언과 모략을 꾸민다.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계교에 속은 왕은 중궁을 폐위시키고 이에 수많은 관원들이 왕에게 간하였지만 왕은 그들의 말을 듣지 않는다. 폐위된 민비는 안국동 본궁에 거처를 정하고 스스로를 죄인으로 청하며 조용히 지낸다. 왕은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 소생의 왕자를 세자로 책봉하고, 이에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더욱 기세등등해진다. 3, 4년의 세월이 흐른 후 왕은 차츰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허물을 짐작하고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다. 왕은 민비의 무죄를 밝히고 다시 정비의 자리에 앉힌다.

한편 왕의 총애를 잃은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앙심을 품고 민비를 해치고자 갖은 모략과 무술(巫術)로 밤낮없이 계책을 꾸미고, 민비는 복위 8년 만에 35살의 젊은 나이로 짧은 생을 마친다. 민비의 죽음을 애통해하던 왕은 민비가 현몽하여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저주를 알리고 이에 왕은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가 민비를 모해한 일을 발견한다. 왕은 무당, 술사, 궁녀 등을 처참하고, 이어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오라비도 처형한 후 마지막으로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에게 사약을 내린다. 왕은 옥사를 처결한 후 제문을 지어 민비의 영혼을 위로하였다.

의의와 평가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의 덕행을 작품화한 이 소설은 역사적 사건 속에서 등장인물이 겪는 파란만장한 사건으로 흥미를 제고하는 동시에, 일종의 교훈서로도 널리 읽혀져 왔다. 특히 이 작품에는 저주(詛呪)가 등장인물의 행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국가 통치의 근간이 되는 유교 이념에 상충된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악인의 저주와 모해가 선인에게 어떠한 위기와 고난을 가져오고, 유교 이념의 근원인 하늘이 개입되어 악인이 처단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에서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는 반인륜적 행위인 저주를 감행한 한 장희빈에 의해 결국 죽음을 맞이하지만 장씨의 죄상이 드러나면서 하늘의 순리를 벗어나 악행이 용납될 수 없음을 강조한 서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한중록(恨中錄)」, 「계축일기(癸丑日記)」와 같은 성격의 궁중소설로 다루어져 왔으나 개인에 입각한 것이 아닌 객관적 입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셩덕현ᄒᆡᇰ녹』(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숙종실록(肅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단행본

이상보 교주,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을유문고, 1971)
정은임,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 연구』(국학자료원, 2014)

논문

김동욱,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이본고」(『문리사대학보』 창간호, 1959)
김용숙,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연구」(『이조여류문학 및 궁중풍속의 연구』 1-1, 덕성여자대학, 1970)
박대복, 「조선조(朝鮮朝) 서사문학(敍事文學)에 수용(受容)된 저주(詛呪)와 천관념(天觀念)(Ⅱ)-「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계축일기(癸丑日記)」·「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仁顯王后傳)」을 중심(中心)으로-」(『어문연구』 2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1)
박요순,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연구」(『숭전어문학』 1, 崇田大學校 國語國文學科, 1972)
이경혜, 『仁顯王后傳 硏究』(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이선자, 『「인현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전」의 형성과정 연구』(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주석
주1

보존 상태가 좋거나, 본문의 계통이 오랜 희귀한 책. 우리말샘

주2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 우리말샘

주3

슈 의 캐릭터 슬롯 머신 숙종의 빈(?~1701). 경종의 어머니이다. 숙원(淑媛)으로 있다가 자신이 낳은 왕자가 원자(元子)로 책봉되자 희빈으로 올랐다. 기사환국이 일어나자 정비(正妃)가 되었으나, 갑술옥사 후 무고(巫蠱)의 옥(獄)에 연루되어 죽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