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사이트 이희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공민왕~우왕 대에 양광도상원수, 서북면상원수 등을 지낸 무신.
이칭
시호
충정(忠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77년(우왕 3)
주요 관직
동강도원수(東江都元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희필은 슬롯사이트 후기 공민왕~우왕 대에 양광도상원수(楊廣道上元帥), 서북면상원수(西北面上元帥), 동강도원수(東江都元帥) 등을 역임한 무신이다. 그는 공민왕 대에 신돈(辛旽) 제거 모의에 참여하였다가 유배형에 처해졌다. 이후 신돈이 제거되자 정계에 복귀하였으며, 우왕 대에는 최영(崔瑩) 등과 함께 왜구를 격퇴하고 지윤(池奫) 일당을 제거하는 데에도 참여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공민왕~우왕 대에 양광도상원수, 서북면상원수 등을 지낸 무신.
인적 사항

슬롯사이트(李希泌)은자제위(子弟衛)출신으로,슬롯사이트(恭愍王)을 시해한홍륜(洪倫)의 장인이다.

주요 활동

슬롯사이트은 공민왕~우왕 대 초기에 활동한 무신이다. 그는 공민왕 대에 주1 오인택(吳仁澤)등과 함께신돈(辛旽) 제거 모의에 참여슬롯사이트다. 그러나 판서(判書) 신귀(辛貴)의 고변(告變)으로 모의가 탄로 나서, 다른 이들과 함께 유배형에 처해졌다. 그러다가 신돈이 제거되자 함께 모의에 참여한 경복흥(慶復興)·윤승순(尹承順) 등과 함께 정계에 복귀슬롯사이트다.

1374년(슬롯사이트 23) 7월에 명(明)에 제주(濟州)의 말 2,000여필을 진상하기 위해 주2들을 정벌슬롯사이트는데, 이때 이희필은 양광도상원수(楊廣道上元帥)가 되어 최영과 함께 참여슬롯사이트다. 공민왕이 피살당하고 우왕(禑王)이 즉위하자 서북면상슬롯사이트(西北面上元帥)로 임명되었으며, 이듬해 9월에는 도지휘사(都指揮使)로 임명되었다.

1377년(우왕 3) 3월에는 이인임(李仁任)과 지윤(池奫)이 대립하자 경복흥(慶復興), 최영 등과 함께 지윤의 주3를 제거슬롯사이트다. 이때 지윤(池奫)이 “이희필은 공민왕을 시해한 홍륜의 장인”이라고 슬롯사이트다. 이와 같은 이희필의 정치적 약점은 그가 이인임의 정적을 제거하는 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 원인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같은 달에 왜구가주4을 노략질하고 강화(江華)에서도 노략질슬롯사이트는데, 이때 이희필은 동강도원수(東江都元帥)에 임명되어 개경을 방어슬롯사이트다. 9월에는 왜구가 영광(靈光) · 장사(長沙) · 모평(牟平) · 함풍(咸豊) · 해주(海州) · 평주(平州) 등지를 노략질슬롯사이트는데, 이때에는 원수(元帥)가 되어 최영 등과 함께 출정슬롯사이트다.

상훈과 추모

1377년(우왕 3) 12월에 사망하자 충정(忠靖)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참고문헌

원전

『슬롯사이트사(高麗史)』
『슬롯사이트사절요(高麗史節要)』

논문

이지희, 「슬롯사이트 우왕대 이인임 세력의 혼인이 인적관계에 미치는 영향」(『인문학연구』 30,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강지언, 「슬롯사이트 우왕대(1374년-88년) 정치세력의 연구」(강지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5)
이형우, 「슬롯사이트 우왕대의 정치적 추이와 정치세력 연구」(이형우, 슬롯사이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주석
주1

슬롯사이트 시대에, 도첨의부에 속한 종이품 벼슬. 공민왕 11년(1362)에 지문하성사를 고친 것으로, 18년(1369)에 지문하부사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슬롯사이트 시대에, 제주도에서 말을 기르던 몽고인.   우리말샘

주3

같은 편에 속하는 사람들.   우리말샘

주4

강화도 손돌목을 이름.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슬롯사이트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