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이현보 ()

이현보초상 / 전 옥준상인
이현보초상 / 전 옥준상인
고전시가
인물
조선전기 형조참판,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이칭
비중(菲仲)
농암(聾巖), 설빈옹(雪鬢翁)
시호
효절(孝節)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67년(세조 13)
사망 연도
1555년(명종 10)
본관
영천(永川)
출생지
예안
주요 관직
형조참판|호조참판
관련 사건
중종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형조참판, 호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개설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비중(菲仲), 호는 m 2 슬롯(聾巖)·설빈옹(雪鬢翁). 예안 출신. 아버지는 참찬 이흠(李欽)이다. 홍귀달(洪貴達)의 문인.

생애 및 활동사항

1498년(연산군 4)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32세에 벼슬길에 올라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예문관봉교 m 2 슬롯 거쳐, 1504년(연산군 10) 38세 때 사간원정언이 됐다. 이때에 서연관의 비행을 탄핵했다가 안동에 유배됐으나 중종반정으로 지평에 복직된다.

밀양부사·안동부사·충주목사를 지냈고, 1523년(중종 18)에는 성주목사로 선정을 베풀어 표리(表裏)를 하사받았다. 이후 병조참지·동부승지·부제학 m 2 슬롯 거쳐 대구부윤·경주부윤·경상도관찰사·형조참판·호조참판을 지냈다. 1542년(중종 37) 76세 때 지중추부사에 제수됐으나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둔다. 이황(李滉)·황준량(黃俊良) 등과 교유했으며 고향에 돌아와서는 시를 지으며 한가롭게 보냈다.

저서로는 『농암집』이 있m 2 슬롯, 작품으로는 전하여오던 「어부가(漁父歌)」를 장가 9장, 단가 5장으로 고쳐 지은 것과 「효빈가(效嚬歌)」·「농암가(聾巖歌)」·「생일가(生日歌)」 등의 시조작품 8수가 전한다.

조선시대에 자연을 노래한 대표적인 문인으로 평가받고 있m 2 슬롯 문학사에서 강호시조의 작가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

1612년(광해군 4) 향현사(鄕賢祠)에 제향됐다가 1700년(숙종 26) 예안의 분강서원(汾江書院)에 제향됐다. 시호는 효절(孝節)이다.

참고문헌

『m 2 슬롯집(聾巖集)』
『m 2 슬롯선생연보(聾巖先生年譜)』
「m 2 슬롯의 시가관」(유증선, 『시문학』4, 195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 2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