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8년(선조 21)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26구이다. 음수율에서는 3·4조가 주조를 이루며, 2·4조, 3·3조, 4·4조, 5·5조, 5·3조 등도 나타난다. ≪송강집 松江集≫·≪송강가사 松江歌辭≫·≪문청공유사 文淸公遺詞≫ 등에 실려 전한다.
작자는 50세되던 1585년 8월에 당파싸움으로 인해, 사헌부와 사간원의 논척을 받고, 고향인 창평(昌平)에 은거한다. 이때 임금을 사모하는 정을 한 여인이 그 남편을 생이별하고 연모하는 마음에 기탁하여, 자신의 충절과 연군의 정을 고백한 작품이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이다. 고신연주(孤臣戀主)의 지극한 정을 유려한 필치로 묘사하였다.
구성은 서사(緖詞)·춘원(春怨)·하원(夏怨)·추원(秋怨)·동원(冬怨)·결사(結詞) 등의 6단락으로 짜여져 있다. 서사에서는 조정에 있다가 창평으로 퇴거한 자신의 위치를 광한전(廣寒殿)에서 하계(下界)로 내려온 것으로 대우(對偶)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춘원에서는 봄이 되어 매화가 피자 임금께 보내고 싶으나 임금의 심정 또한 어떤 것인지 의구하는 뜻을 읊었다. 하원에서는 화려한 규방을 표현해 놓고, 이런 것들도 임께서 계시지 않으니 공허함을 노래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추원에서는 맑고 서늘한 가을철을 묘사하고 그 중에서 청광(淸光)을 임금께 보내어 당쟁의 세상에 골고루 비치게 하고 싶은 마음을 토로슬롯 머신 돈 따는 꿈. 동원에서는 기나긴 겨울밤에 독수공방하면서 꿈에나 임을 보고자 하여도 잠들 수 없음을 표현슬롯 머신 돈 따는 꿈.
결사에서는 임을 그리워한 나머지 살아서는 임의 곁에 갈 수 없다고 생각하여 차라리 죽어서 벌이나 나비가 되어 꽃나무에 앉았다가 향기를 묻혀 임께 옮기겠다고 읊었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 작품 전체가 한 여성의 독백으로 되어 있고, 여성적인 행위·정조(情調)·어투·어감 등을 봄·여름·가을·겨울에 맞는 소재를 빌려 작자의 의도를 치밀하게 표현하였다. 사용된 시어나 정경의 묘사 또한 비범한 것으로 높이 칭송되고 있다.
그래서 홍만종(洪萬宗)은 ≪순오지 旬五志≫에서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을 가리켜 “가히 제갈공명의 출사표에 비길 만하다(可與孔明出師表爲佰仲着也).”라고 하였다. 김만중(金萬重)도 그의 ≪서포만필 西浦漫筆≫에서 이 작품을 높이 평가한 바 있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의 속편이라고 한 <속미인곡 續美人曲>, <관동별곡 關東別曲>과 함께 “동방의 이소요, 자고로 우리 나라의 참된 문장은 이 3편뿐이다(松江先生 鄭文淸公 關東別曲 前後思美人歌 乃我東之離騷……自古左海眞文章 只此三編).”라고 대단히 칭찬하였다.
≪동국악보 東國樂譜≫에서는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에 대해 ‘영중의 백설(郢中之白雪)’이라고 하였다.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은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중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思美人>을 모방하여 지었다는 설도 있다.
내용에 있어 유사한 점이 많기는 하나 한 구절의 인용도 없고 오히려 표현기교는 훨씬 뛰어나서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을 능가하는 작품이라 하겠다. 후대에 이르러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을 본받아 동일한 주제와 내용을 가진 작품들이 나타나게 된다.
정철의 <속미인곡>을 비롯하여 김춘택(金春澤)의 <별사미인곡 別思美人曲>, 이진유(李眞儒)의 <속사미인곡 續思美人曲>, 양사언(楊士彦)의 <미인별곡 美人別曲> 등이 모두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의 영향에 의한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은 모두 정철의 전후사미인곡과 같이 충군(忠君)의 지극한 정을 읊은 것으로 정철의 작품을 모방하여 지어진 것이다. 한역시로는 김상숙(金相肅)이 소체(騷體)로 번역한 것이 이병기(李秉岐) 소장의 ≪사미인곡첩≫에 전하고 있고, 성연경재(成硏經齋)의 오언시인 슬롯 머신 돈 따는 꿈곡역>이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