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이중균 ()

동전유고
동전유고
유교
인물
조선후기 『동전잠사유고』를 저술한 학자.
이칭
국경(國卿)
동전잠사(東田潛士)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1년(철종 12)
사망 연도
1933년
본관
진성(眞城)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동전잠사유고』를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동전잠사(東田潛士). 아버지는 이만창(李晩昌)이며, 어머니는 구산박씨(龜山朴氏)로 박계조(朴啓祖)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3년(고종 20) 방경응제시(邦慶應製試)에 합격던파 온 슬롯다. 스승 없이 독학으로 공부하여 30세에 성균관에 유학던파 온 슬롯는데, 당시 종유하던 이남규(李南圭)·이병칠(李炳七)·오상필(吳相弼) 등과 학문을 강론던파 온 슬롯다. 1893년 성균관에 월과(月課)가 설치되었을 때 왕명으로 성균관에 들어갔다.

갑오경장 이후 향리로 돌아갔으며, 1910년 경술국치 이후부터는 어떠한 일에도 기뻐하는 기색을 보이는 일이 없었으므로 사람들은 “이진사가 웃으면 석불도 웃는다.”는 말을 던파 온 슬롯다고 한다. 저서로는 『동전잠사유고(東田潛士遺稿)』 15권이 있다.

참고문헌

『동전잠사유고(東田潛士遺稿)』
관련 던파 온 슬롯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던파 온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