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목활자본. 그의 문인인 최영조(崔永祚)의 편집을 거쳐, 1912년 저자의 손자 승현(承鉉)과 증손 순서(淳瑞)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영조·이정근(李鼎根)의 서문과 권말에 임태주(任泰柱)의 발문이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권1에 시 89수, 권2에 설 1편, 문 3편, 기 1편, 개기축문(開基祝文) 1편, 부 10편, 권3·4에 책(策) 13편, 권5에 논(論) 5편, 의(義) 4편, 묘갈 1편, 제문 1편, 만사 4편 등으로 구성되어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시는 대부분 조수·초목 등의 이름을 제목으로 써서 읊은 점과 형식에서 칠언율을 택한 특징을 보인다.
잡저 가운데 「건학통문(建學通文)」은 글방을 설립하고 장학제도를 만들어 후진양성에 힘쓰자고 하는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의 통문이다. 「전예격문(戰藝檄文)」은 그가 사는 마을 주민과 이웃마을의 주민들을 모아놓고 동서로 편을 짜서 학문과 예술 및 무예에 관한 장기대회를 개최하자는 슬롯 머신 돈 따는 꿈이다.
책은 모두 의작(擬作)으로서 문답식으로 논술하였다. 예를 들면 「위정막선어과단(爲政莫善於果斷)」·「분전제산유국지선무(分田制産有國之先務)」·「조적지곡비특축적(糶糴之穀非特蓄積)」·「풍년민식지본(豊年民食之本)」 등으로 정치·경제·국방·농업·도덕·윤리·사회적 문제 등 여러 문목(問目)을 설정하고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고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논 가운데 「방태갑론(放太甲論)」은 중국 역대 제왕의 치란과 군신간의 군도와 신도에 대한 근본 원리를 예로 들어 정치상의 문제점을 개혁해야 한다는 논설이다. 그밖에도 「장려미앙궁(壯麗未央宮)」·「절부(竊符)」·「익폐패공(翼蔽沛公)」·「연단(燕丹)」 등이 슬롯 머신 돈 따는 꿈.
의 가운데 「선지가색지간난(先知稼穡之艱難)」은 『서경(書經)』의 「무일편(無逸篇)」에 있는 문구를 인용해 위정자가 먼저 농민들의 노고를 알아야 검약할 줄 안다는 치민정책의 원리를 논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