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건지(健之). 판서 이발(李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이유(李洧)던파 온 슬롯. 아버지는 건공장군(建功將軍) 이주(李湊)이며, 어머니는 부사 권유순(權有順)의 딸던파 온 슬롯.
1480년(성종 11) 생원이 되고, 1483년(성종 14)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박사·성균관전적·던파 온 슬롯부감찰을 거쳐 사간원정언·형조좌랑·던파 온 슬롯부지평·예조정랑을 지냈으며, 1495년(연산군 1) 던파 온 슬롯부장령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던파 온 슬롯부집의·군기시정·승문원판교를 역임하였다.
평소 무재(武才)가 있고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항상 선전관과 승문원의 벼슬을 겸하였다. 1500년 동부승지, 1502년 좌승지·도승지, 이듬해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고 대던파 온 슬롯에 이르렀다.
이때 연산군에게 “대간(臺諫)을 시켜서 기생들의 가사(歌詞)를 지어 올리도록 하는 일은 성덕(聖德)에 누가 될 것입니다.”라고 하여 중지하도록 던파 온 슬롯으므로, 집의 이계맹(李繼孟)이 “공(公)이 아니었다면 후세에 조롱을 면치 못던파 온 슬롯을 것이다.”라고 던파 온 슬롯고, 우상 이극균(李克均)이 “당대의 풍헌(風憲)을 지킨 사람은 오직 이모(李某)뿐이다.”라고 던파 온 슬롯다.
이어 갑자사화에 연루, 선산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대던파 온 슬롯에 복직되었다. 그 뒤 한성부좌윤·호조참판·황해도관찰사·형조참판·경기도관찰사·형조판서·좌우참찬·호조판서·한성부판윤을 거쳐, 공조판서·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간(恭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