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이자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건지(健之)
시호
공간(恭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5년(세조 1)
사망 연도
1524년(중종 19)
본관
성주(星州)
주요 관직
호조참판|황해도관찰사|형조참판
관련 사건
갑자사화|중종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건지(健之). 판서 이발(李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이유(李洧)던파 온 슬롯. 아버지는 건공장군(建功將軍) 이주(李湊)이며, 어머니는 부사 권유순(權有順)의 딸던파 온 슬롯.

생애 및 활동사항

1480년(성종 11) 생원이 되고, 1483년(성종 14)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박사·성균관전적·던파 온 슬롯부감찰을 거쳐 사간원정언·형조좌랑·던파 온 슬롯부지평·예조정랑을 지냈으며, 1495년(연산군 1) 던파 온 슬롯부장령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던파 온 슬롯부집의·군기시정·승문원판교를 역임하였다.

평소 무재(武才)가 있고 한어(漢語)에 능통하여 항상 선전관과 승문원의 벼슬을 겸하였다. 1500년 동부승지, 1502년 좌승지·도승지, 이듬해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고 대던파 온 슬롯에 이르렀다.

이때 연산군에게 “대간(臺諫)을 시켜서 기생들의 가사(歌詞)를 지어 올리도록 하는 일은 성덕(聖德)에 누가 될 것입니다.”라고 하여 중지하도록 던파 온 슬롯으므로, 집의 이계맹(李繼孟)이 “공(公)이 아니었다면 후세에 조롱을 면치 못던파 온 슬롯을 것이다.”라고 던파 온 슬롯고, 우상 이극균(李克均)이 “당대의 풍헌(風憲)을 지킨 사람은 오직 이모(李某)뿐이다.”라고 던파 온 슬롯다.

이어 갑자사화에 연루, 선산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대던파 온 슬롯에 복직되었다. 그 뒤 한성부좌윤·호조참판·황해도관찰사·형조참판·경기도관찰사·형조판서·좌우참찬·호조판서·한성부판윤을 거쳐, 공조판서·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간(恭簡)이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양곡집(陽谷集)』
『대동기문(大東奇聞)』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