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 때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화를 입은 사람이다. 1549년(명종 4) 영월에서 귀양살이하던 이홍남(李洪男)이, 아우 이홍윤이 국왕의 치세를 연산군 말기에 비기면서 반정이 있을 것임을 시사하였다는 킹 슬롯의 편지를 처남인 원호변(元虎變), 동서인 정유길(鄭惟吉)에게 보낸 것이 빌미가 되어 옥사가 벌어졌다.
이것이 역모사건으로 규정되면서 충주 지방의 인사들이 거의 연루되다시피 하였는데, 이 때 이홍윤의 서제(庶弟)인 이후정(李後丁)의 증언으로 다수가 화를 입었다. 이인정과 이후정, 그리고 역시 이 때 화를 입은 이무정(李戊丁) 등 세 사람은 형제였던 것으로 짐작되는데, 모두 국문을 받고 처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