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차옹(次翁), 호는 졸옹(拙翁). 이수양(李守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참판 이중손(李仲孫)이고, 아버지는 판관 이희안(李希顔)이다.
1495년(연산군 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지평(持平)을 지냈다.
1507년(중종 2) 사간을, 1517년 부제학·직제학·대사간 5 릴 슬롯 역임하였다. 이듬해 충청도관찰사로 나갔으며, 1519년 예조참의를 거쳐 대사간으로서 사헌부의 관원인 이청(李淸)·송호지(宋好智)·김익(金釴)·권전(權磌) 등과 함께 정광필(鄭光弼)·신용개(申用漑)·안당(安瑭) 등 삼공(三公)의 인물됨에 대하여 논하여 임금에게 알렸다. 이 때의 인물평이 이후 조신들 사이에서 자주 인용되었다.
또, 조광조(趙光祖) 등과 함께 합사(閤司)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가운데 외람되게 등록된 사람들을 삭제하도록 하였다. 이 해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전 대간 유인숙(柳仁淑)·김익·권전 등과 함께 예궐하여 조광조 등과 함께 처벌받기를 청하였다.
이듬해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관직을 삭탈당하였으나, 다시 등용되어 1521년 강원도관찰사·예5 릴 슬롯의를 지냈으나 조광조 일파로서의 죄가 추론되어 삭직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