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이능호 ()

상경헌문집
상경헌문집
유교
인물
일제강점기 때, 『유지록』, 『강의록』, 『삼정록』 등을 저술하였으며, 국권이 상실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한인 교육에 힘쓴 학자.
이칭
화극(和克)
상경헌(常敬軒)
이칭
능호(能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4년(철종 5)
사망 연도
1919년
본관
여주(驪州)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유지록』, 『강의록』, 『삼정록』 등을 저술하였으며, 국권이 상실되자 만주로 망명하여 한인 교육에 힘쓴 학자.
개설

본관은 여주(驪州). 초명은 능호(能頀), 자는 화극(和克), 호는 섀도 어 슬롯 강화(常敬軒). 아버지는 이재옥(李在沃)이며, 어머니는 경주최씨(慶州崔氏)로 최세룡(崔世龍)의 딸이다. 일찍부터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이재목(李在穆)의 문하에서 오직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0년 국권이 상실되자 망국의 한을 품고, 1912년 만주 관전현(寬甸縣)으로 망명하여 그 곳에 정산서재(頂山書齋)를 세우고 한인(韓人)으로 그곳에 유우(流寓)한 이들을 가르치다가 여생을 마쳤다. 학문에 있어서 현학적인 이기론(理氣論)보다는 실천궁행을 앞세웠으며, 또 천문역법(天文曆法)에도 밝았다.

편술로는 『언경록(言敬錄)』·『거상록(居喪錄)』·『의전록(義戰錄)』·『보외서유집(補外書類集)』 등이 있고, 저술로는 『유지록(幼志錄)』·『강의록(講義錄)』·『삼정록(三正錄)』·『비망록(備忘錄)』·『일건록(日乾錄)』·『강목법의(鋼目法義)』·『상경헌섀도 어 슬롯 강화(常敬軒文集)』 등이 있다.

참고문헌

『상경헌섀도 어 슬롯 강화(常敬軒文集)』
관련 섀도 어 슬롯 강화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