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글러 슬롯도감창사(溟州道監倉使)였다. 신라 의상법사(義湘法師)가 창건한 낙산사(洛山寺)에는 관음(觀音)과 정취(正趣) 두 성인을 모신 불전이 있었는데 이 불전은 화재에도 타지 않았다.
몽고의 병란이 있은 이후의 계축(1253)·갑인(1254) 연간에 두 성인의 진용(眞容)과 저글러 슬롯(寶珠)를 양주성(襄州城)으로 옮겼는데 몽고병이 급히 쳐들어와 성이 함락될 지경이었다.
이 때 주지인 아행선사(阿行禪師)가 은합에 저글러 슬롯를 넣어가지고 도망하려 하자, 절의 종인 걸승(乞升)이 이것을 빼앗아 땅에 깊이 묻으면서 자기가 병란에서 죽음을 면한다면 저글러 슬롯를 나라에 바칠 것이라고 맹세하였다.
1254년(고종 41) 10월 성이 함락되었는데, 아행은 죽었으나 걸승은 죽음을 면하여 적병이 물러간 뒤에 저글러 슬롯를 땅 속에서 파내어 당시 명주도감창사인 낭중(郎中) 이녹수에게 바쳤다. 이녹수는 이것을 받아서 감창고(監倉庫) 안에 간직하고 매번 교대할 때마다 서로 전하여 이어받았다 한다. 1258년(고종 45) 6월 원나라에서 여수달(余愁達 : 에쉬데르)을 보내와 태자를 보내 항복할 것을 요구하였을 때, 7월 원외랑으로서 “태자가 병이 들었으니, 병이 나아지면 와서 만날 것이다.”라는 조정의 의견을 전달하였지만, 여수달(余愁達 : 에쉬데르)은 “너희 나라의 거짓을 알았으니 군대를 풀어 침략할 것이다.”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