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7 슬롯 율원 ()

목차
불교
제도
불교의 율사(律師)를 양성하는 전문교육기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777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의 율사(律師)를 양성하는 전문교육기관.
내용

그 책임자는 율주(律主)이며, 보통 강원의 대교과(大敎科)를 마친 비구승(比丘僧) 중에서 특별히 계율의 연구에 뜻을 지닌 자들이 입학하게 된다.

777 슬롯의 성립은 신라시대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승려들의 기강을 세우고 올바른 율법(律法)에 의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게 하기 위하여 통도사에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설립함으로써 개설되었다.

그러나 그뒤의 777 슬롯변천 등은 전혀 알 수 없다. 다만, 현재 조선 중기 이후로부터 이어지는 율맥(律脈)이 해인사 · 백양사 · 범어사 · 통도사 등을 중심으로 전하여지고 있어 이들 사찰에 777 슬롯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777 슬롯에서 공부하였던 중요 교과목은 『사미율의요로(沙彌律儀要露)』 · 『범망경(梵網經)』 · 『사분율(四分律)』 등이다.

현재 우리나라 사찰 중 해인사와 송광사 등에 777 슬롯이 있다. 1978년 율주 김일타(金日陀)를 중심으로 8명의 승려가 시작한 해인사의 777 슬롯은 1984년 현재 29명의 율사를 배출하였으며, 송광사는 777 슬롯을 설립하였다.

참고문헌

『777 슬롯불교소의경전연구(韓國佛敎所依經典硏究)』(이지관, 보련각,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777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777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777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