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네킹 슬롯 윤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심(士心)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8년(숙종 14)
사망 연도
1755년(영조 31)
본관
함안(咸安)
주요 관직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
관련 사건
을해옥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마네킹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사심(士心). 할아버지는 윤천뢰(尹天賚)이고, 아버지는 판서 윤취상(尹就商)이다. 어머니는 한우굉(韓宇宏)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05년(숙종 31) 진사시를 거쳐 1723년(경종 3)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사간원정언에 제수되고, 이어 사헌부지평이 마네킹 슬롯. 1724년(영조 즉위년) 김일경(金一鏡) 등의 옥사에 연좌되어 소론파의 영수였던 아버지는 고문 끝에 죽고, 윤지는 이듬해 6월 제주도 대정현에 안치마네킹 슬롯.

19년 만인 1743년 나주로 감등이배(減等移配)마네킹 슬롯가 같은 해 전리(田里)에 방축마네킹 슬롯. 제주와 나주에서 30년 동안이나 귀양살이를 하였지만 김일경 일파의 역도로 낙인이 찍혀 등용될 가망이 없었으므로, 나주목사 이하징(李夏徵)을 비롯하여 이효식(李孝植) 등 계조직을 가진 동지들과 더불어 늘 조정에 불만을 품어왔다.

1755년 1월 노론파를 지목하여 나주객사에 나라를 비방하는 괘서를 붙였다. 이른바 을해옥사로 일컬어지는 벽서사건에 연루되어 서울로 압송되고, 친국 끝에 그해 2월 아들 윤광철(尹光哲) 그리고 이하징·박찬신(朴纘新) 등 관련자들과 함께 처형마네킹 슬롯. 이 사건으로 소론파 중 준소(峻少)계열은 완전히 타도되고 몰락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천의소감(闡義昭鑑)』(김재노)
『약파만록(藥坡漫錄)』(이희령)
『조야집요(朝野輯要)』
『국조방목(國朝榜目)』
『사마방목(司馬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마네킹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마네킹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마네킹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마네킹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