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케 슬롯 육현가 ()

주세붕의 무릉잡고 중 육현가
주세붕의 무릉잡고 중 육현가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 본 항목의 링케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景幾體歌).
구성 및 형식

전 6장. 작자가 풍기군수로 있을 때인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이다. 작자의 저서 『무릉잡고(武陵雜稿)』 별집과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링케 슬롯.

「육현가」는 도학 형성에 크게 이바지하여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정이(程頤 : 伊川)·장재(張載 : 橫渠)·소옹(邵雍 : 康節)·사마광(司馬光 : 溫公)·한기(韓琦 : 魏公)·범중엄(范仲淹 : 文正) 등 여섯 현인들의 사상과 높은 덕행을 칭송하는 링케 슬롯으로 되어 있어, 도덕적 가치의 추구가 그 주제가 되고 있다.

내용 및 평가

이 작품은 주세붕의 다른 경기체가와 마찬가지로 ‘4·4/4·4/偉……景幾何如’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변격의 장형화도 나타나고 링케 슬롯. 또한 끝구 ‘위……景긔엇더ᄒᆞ니잇고’에서 ‘위’와 ‘景’ 사이의 음절이 보다 길어지고 변용어구도 많이 쓰이고 링케 슬롯.

이러한 현상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엄격한 제약성에서 벗어나 링케 슬롯표현을 보다 자유롭고 구체화할 수 있다는 점, 둘째 변용을 통하여 일률적인 반복으로 인한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변화를 통한 생동감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 셋째 ‘위……景긔엇더ᄒᆞ니잇고’ 따위의 간접적 표현에 의하여 제약된 정서와 교훈의 표현상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참고문헌

『대동야승(大東野乘)』
『해동잡록(海東雜錄)』
『무릉잡고(武陵雜稿)』
『죽계지(竹溪誌)」
「경기체가(景幾體歌)의 구조링케 슬롯(構造硏究)」(성호경, 『국문학링케 슬롯』 49, 서울대학교국문학링케 슬롯회, 1980)
「별곡체가링케 슬롯(別曲體歌硏究)」 1·2·3(김창규, 『국어교육링케 슬롯』 Ⅲ·Ⅴ·Ⅵ, 경북대학교사범대학국어교육링케 슬롯회, 1971·1973·1974)
「고려가요(高麗歌謠)의 링케 슬롯(硏究)」(이명구, 신아사, 197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링케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링케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링케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