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팽성(彭城). 자는 원보(原甫), 호는 죽간(竹諫). 북송(北宋)에서 태어나서 고려로 망명하였다. 아버지는 북송의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유채(劉采)이다.
1082년(문종 36) 북송 신종(神宗) 때 간신(姦臣)들에게 참소당하여 임팔급(林八及)·설인검(薛仁儉)·허훈(許薰)·유전(劉筌)·최호(崔沍)·권지기(權之琦)·공덕수(孔德狩) 등 팔학사와 함께 고려로 망명하여 경주(慶州) 기계현(杞溪縣)에 도착하여 평생을 학문 연마에 정진하였다.
유전은 “동방의 이학지조(理學之祖)라 하여 덕행이 주공(周公)·소공(召公)·태공(太公)에 비할 무료 슬롯사이트으므로 마땅히 사우(祠宇)에 봉안하여 제향(祭享)해야 한다”는 대제학(大提學) 박상충(朴尙衷) 등의 상소에 의하여 숭의전(崇義殿)에 배향되고 모든 은전(恩典)이 내려졌으며, 평장사(平章事)에 증직되었다. 시호(諡號)는 문양(文襄)이다. 저서로는 『죽간일고(竹諫逸稿)』 4권 2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