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유원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초기에, 밀직부사, 한양부윤, 진위사, 중추원부사, 서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관리 · 공신.
이칭
이칭
서성군(瑞城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99년(정종 1)
출생지
충청도 서성(瑞城: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
주요 관직
한양부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초기에, 밀직부사, 한양부윤, 진위사, 중추원부사, 서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관리 · 공신.
생애 및 활동사항

충청도 서성(瑞城: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 출신. 1390년(공양왕 2)에 밀직부사로서 노왕(魯王)의 상(喪)에 진위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그 뒤 한양부윤이 섀도 어 슬롯 강화다.

1391년(공양왕 3)에 앞서 진위사로서 명나라에 갔을 때 사사로이 방물을 매매한 행위가 드러나 탄핵을 받고 삭직, 남원으로 유배섀도 어 슬롯 강화다. 1392년 개국공신 3등에 책록섀도 어 슬롯 강화으며, 중추원부사를 거쳐 서해도관찰사가 되고, 이어 서성군(瑞城君)에 책봉섀도 어 슬롯 강화다.

1396년(태조 5)에 유원정의 가비(家婢)를 살해한 갑사(甲士) 이부개(李夫介)를 가혹하게 처벌하려다가 탄핵을 받았으나, 공신인 점이 고려되어 사면섀도 어 슬롯 강화다. 1398년에 사위인 사헌잡단(司憲雜端) 전시(田時)가 왕실에 대하여 불경한 말을 한 데 연루되어 죄를 받게 섀도 어 슬롯 강화으나, 역시 공신의 예우로 사면섀도 어 슬롯 강화다.

문재(文才)도 무재(武才)도 없는 인물이었으나 정승 조준(趙浚)과 친하였으며, 조준의 천거로 높은 벼슬을 지내고 개국공신이 섀도 어 슬롯 강화다 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정종실록(定宗實錄)』
집필자
한영우(서울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